민주 "9·19 군사합의 복원해야"…'통일 막은 尹정부' 비판국힘 "북한 눈치 보기 안돼"…'농지·태양광 의혹' 도덕성 공세김기현 의원 질의 경청하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 2025.7.14 kjhpress@yna.co.kr(서울=연합뉴스) 하채림 박수윤 최평천 기자 = 여야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정 후보자의 대북관과 도덕성·자질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면서 정 후보자가 남북 관계를 회복할 적임자라고 평가했지만, 국민의힘은 정 후보자를 '북한 대변인'이라고 몰아붙이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민주당 홍기원 의원은 "정 후보자가 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개선, 남북 교류 협력에서 큰일을 많이 했는데 어려운 시기에 정말 적임자가 아닌가 한다"며 노무현 정부 시절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 후보자의 '경력'을 부각했다. 홍 의원은 "통일부 명칭을 '평화통일부'로 바꾸면 어떨까 한다"며 "지난 정부에서 평화적 통일이 아니라 사실상 북한의 붕괴를 기대하고 압박하는 정책을 추진했고 남북 관계 악화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평화통일부로 바꾸면 평화적 통일을 목표로 노력한다는 시그널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이재정 의원은 "통일을 가로막기 위해 존재했던 것 같은 윤석열 정부의 통일부를 이어받는 상황에서 '이만한 적임자가 있나'라는 생각을 해본다"며 "과거 통일부 장관 재임 시절 각종 남북 행사와 개성공단 착공 등 한반도 역사에서 벅찬 일을 함께한 후보자"라고 강조했다. 조정식 의원은 "지난 3년 여러 국정 분야가 무너지고 망가졌지만, 가장 후퇴한 분야를 꼽으라면 첫 번째가 통일 분야"라면서 "남북 군사 직통전화를 복구하고, 9·19 군사합의 복원을 이뤄내야 한다. 남북 신뢰 회복과 대화, 교류 협력도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민주당 이용선 의원은 "윤석열 정부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공세적인 대북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며 "정부에서 발간한 북한 인권 보고서도 엉터민주 "9·19 군사합의 복원해야"…'통일 막은 尹정부' 비판국힘 "북한 눈치 보기 안돼"…'농지·태양광 의혹' 도덕성 공세김기현 의원 질의 경청하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의 질의를 경청하고 있다. 2025.7.14 kjhpress@yna.co.kr(서울=연합뉴스) 하채림 박수윤 최평천 기자 = 여야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정 후보자의 대북관과 도덕성·자질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면서 정 후보자가 남북 관계를 회복할 적임자라고 평가했지만, 국민의힘은 정 후보자를 '북한 대변인'이라고 몰아붙이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민주당 홍기원 의원은 "정 후보자가 한반도 평화와 남북 관계 개선, 남북 교류 협력에서 큰일을 많이 했는데 어려운 시기에 정말 적임자가 아닌가 한다"며 노무현 정부 시절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 후보자의 '경력'을 부각했다. 홍 의원은 "통일부 명칭을 '평화통일부'로 바꾸면 어떨까 한다"며 "지난 정부에서 평화적 통일이 아니라 사실상 북한의 붕괴를 기대하고 압박하는 정책을 추진했고 남북 관계 악화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평화통일부로 바꾸면 평화적 통일을 목표로 노력한다는 시그널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이재정 의원은 "통일을 가로막기 위해 존재했던 것 같은 윤석열 정부의 통일부를 이어받는 상황에서 '이만한 적임자가 있나'라는 생각을 해본다"며 "과거 통일부 장관 재임 시절 각종 남북 행사와 개성공단 착공 등 한반도 역사에서 벅찬 일을 함께한 후보자"라고 강조했다. 조정식 의원은 "지난 3년 여러 국정 분야가 무너지고 망가졌지만, 가장 후퇴한 분야를 꼽으라면 첫 번째가 통일 분야"라면서 "남북 군사 직통전화를 복구하고, 9·19 군사합의 복원을 이뤄내야 한다. 남북 신뢰 회복과 대화, 교류 협력도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민주당 이용선 의원은 "윤석열 정부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공세적인 대북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며 "정부에서 발간한 북한 인권 보고서도 엉터리 정치 공세용으로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