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무서울 정도로 빨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3회

본문

무서울 정도로 빨 무서울 정도로 빨리 자라는 만차랑단호박이 열매를 맺었다. 어디 돈 벌겠다고 나섰을까? 그래도 대형마트에서 파는 채소 가격이 싸면 쌀수록 ‘이러려고 농사짓나’ 하는 생각에 ‘자괴감이 들고 괴로울 때’가 있다. 여름은 텃밭 농부에게 힘든 시기다. 2025년 7월6일 오후 2시께, 밭장 차를 타고 밭에 도착했을 때 ‘외기 온도’는 35도였다.먼저 온 막내는 벌써 얼굴이 땀범벅이다. 계획하고 온, 해야 할 일은 두 가지다. 상추·고추·가지 등 작물을 충분히 수확하고, 지난주 만들어놓은 밭 두 고랑에 추석 즈음에 먹을 옥수수를 파종해야 한다. 후,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일단 막내가 가져온 막걸리부터 한 순배 돌렸다.도대체 뭘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10분 일하고 ‘사이드카’, 10분 일하고 ‘작업중지명령’ 발동이 되풀이됐다. 열에 익어 평상 위에 쳐놓은 타프가 군데군데 터지기 시작한다. 땀이, 땀이, 딱 수도꼭지 튼 것처럼 죽죽 흐른다. 아무리 수건으로 얼굴을 훔쳐도 눈을 뜰 수 없을 지경이었다. 손녀 육아 때문에 밭에 못 온 동무가 ‘지구가 큰일’이란 문자를 보내왔다.일주일은 얼마나 긴 시간인가. 상추는 모조리 꽃대를 올렸다. 망연자실인데, 일주일이라도 더 수명을 늘리려 쪼그리고 앉아 ‘이등병’ 머리칼처럼 상춧잎을 다 따줬다. 풀을 잡아준 밭의 상태가 더 심각하다. 풀과 같이 산 상추는 상태가 훨씬 낫다. 키 큰 풀이 햇볕도 막아주고, 맥없이 흘러갈 물도 잡아 상추와 나눈 덕이다. 풀과 작물의 공생은 신비롭다.만차랑단호박은 그야말로 압권이다. 파종 일주일 만에 떡잎을 내고, 한 달 만에 줄기를 곧추세웠다. 올해 파종한 씨앗마다 발아율이 떨어져 ‘마이너스의 손’이란 별칭을 얻은 밭장이, 자기 없을 때 심어 자란 만차랑을 바라보며 신기해한다. 지난주 덩굴 타고 자라라고 세워준 타원형 지주대에 줄을 감아 그물망까지 만들어준다. 아래로 덩굴을 뻗어 다른 밭으로 가려던 녀석들을 다 포박해 지주대 쪽으로 다시 올렸다. “형, 이놈들 크는 게 무섭소.” 삽시간에 흘린 땀이 ‘서말닷되’는 족히 됐을 밭장이 흐뭇하게 웃는다.‘월간 원예’ 보도를 보면, 만차랑은 ‘단호박의 왕’으로 불린다. 단호박(시사저널=이석 기자)대한민국이 저성장·저출생의 늪에 빠졌습니다. 인구 소멸은 곧 지방소멸을 뜻하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날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도, 주거도, 육아도 빠진 지방 중소도시에서는 청년이 떠나고 노인만 남는 현실이 고착되고 있습니다. 소멸과 집중의 속도를 늦추고 균형을 회복하는 일은 지금 우리 사회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이는 지역균형발전을 약속한 이재명 정부의 시급한 시험대이기도 합니다. 시사저널은 2025년 말까지 지방소멸과 수도권 집중의 현장, 쟁점, 대안을 심층 추적하는 연중기획을 준비했습니다. 특히 각 지역 독자 여러분의 생생한 제보를 바탕으로 삶의 현장을 밀착 취재할 예정입니다. [편집자 주] 대구 달서구 본리동의 한 아파트 단지가 야간에도 불이 꺼져 있다. ⓒ시사저널 최준필 지난 7월7일 오후 3시, '대구의 명동'으로 불리는 중구 동성로는 과거의 화려함을 잊은 듯 쓸쓸한 풍경을 자아냈다. 한때 이곳은 서울 명동, 부산시 서면과 함께 전국 3대 상권으로 꼽혔다. 1990년대까지 랜드마크였던 대구백화점 본점 매출이 신세계 본점을 압도할 정도였다.시간이 지나면서 이 동성로의 명성이 많이 약해졌다. 동아백화점 본점을 시작으로 노보텔, 롯데 영프라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잇따라 문을 닫았다. 젊은층의 약속 장소였던 동아백화점 본점 건물은 2021년 폐업 이후 4년째 방치된 상태다. 기자가 현장을 방문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퇴근시간이 가까워졌음에도 중심 상권을 오가는 인파는 드물었다. 공실률도 급증했다. 동성로 중심상가 5곳 중 1곳이 비어있다 보니 '상가 임대'라는 플래카드가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이런 분위기 속에 젊은층이 빠져나간 동성로 주변은 40층 이상의 초고층 아파트촌으로 변모했다. 2020년대 초부터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포스코E&C, SK건설 등이 경쟁적으로 주상복합 아파트 건설에 나섰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화려한 겉모습과는 달리 동성로의 속살은 타들어가고 있다. 입주가 4개월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까지 분양을 마무리짓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만 무서울 정도로 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