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추자도 전경. [종합] 제주 추자도 해역에서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기 위한 사업자 공모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통령실에 진정서를 제출한 시민사회단체가 11일 추자도 해상풍력의 불가 사유를 거듭 밝히며 사업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제주도내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은 11일 오전 민주노총 세미나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최근 대통령실에 보낸 추자도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진정서와 관련해 사업을 철회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했다.'추자 해상풍력 개발 사업에 근본적 질문을 던지다'를 주제로 한 이날 간담회에서 제주행동은 추자도 해상풍력사업이 대단위 건설로 인한 해양생태계 및 경관 훼손 등의 환경성 문제 뿐만 아니라, 공모 단계에서의 공정성 논란과 특혜 논란의 여지가 있음을 전제했다.그러면서 이번에는 사업의 법적 타당성과 국가계획과의 부합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기후해양정책연구소 코리의 김정도 연구실장은 이날 추자도 해상풍력사업과 관련한 추가적 검토 과제로 △계통연계 불가능 △규모 적정성 △공익에 미부합 △지자체 간 갈등 문제 등 4가지 문제를 지적했다. 11일 오전 열린 탈핵기후위기 제주행동의 추자해상풍력사업 관련 기자 간담회. ⓒ헤드라인제주 우선 추자도 해상풍력단지가 건설될 경우 계통연계 방안에 중대한 문제가 있음을 꼽았다.그는 "제주도 내 대규모 재생에너지 생산을 뒷받침할 구체적인 계통연계 방안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현재도 계통 문제로 인해 재생에너지 신규 허가가 멈춘 상태"라고 전제했다.또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이 있다고는 하지만 제주발 전력을 수용하는 구조로 계획되지 않았다"며 "이는 전라남도의 전기를 수도권으로 올려보내는 용도이고, 전라남도의 출력제한 조치가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이어 "이러한 상황은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햇빛과 바람연금'의 실현을 저해할 뿐 아니라, 제주도 [서울=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최휘영 놀유니버스 대표를 각각 지명했다. 이날 발표로 이재명 정부 1기 내각의 진용이 모두 갖춰졌다. (그래픽=전진우 기자)618tue@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지은 조재완 기자 = 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인선이 11일 완료된 가운데 출신 지역과 대학 안배 등에 있어 전임 윤석열 정부와 비교해 쏠림 현상이 완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이날 내정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를 포함해 국무총리 및 정부 부처 19개 장관급 인선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는 호남 출신이 7명(김성환·김윤덕·김정관·안규백·정동영·정은경·조현), 영남 출신이 6명(강선우·구윤철·김영훈·권오을·전재수·최휘영)으로 비교적 지역별 안배가 이뤄졌다.서울(김민석·배경훈) 및 경기(윤호중·한성숙) 등 수도권 출신은 4명이었고 충청 2명(송미령·이진숙), 강원 1명(정성호) 등으로 분포했다.윤석열 정부 1기 내각 인선에선 영남이 7명이었지만 호남 출신은 한 명도 발탁되지 않았다.20명의 평균 연령은 60.2세로 나타났다. 60대가 11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6명, 40대 2명, 70대 1명 순이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72세로 최연장자이고 47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최연소자였다.장관 후보자 중 여성 비율은 19명 중 5명으로 26.3%로 나타났다.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언급한 30%에는 미치지 못했다. 윤석열 정부 첫 내각 인선에서 여성 장관 후보자는 3명으로 18.75%에 그쳤다.서울대 편중도 완화됐다. 김민석 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내각 20명 중 서울대는 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세대와 이화여대가 각각 2명, 고려대와 광운대, 서강대, 동국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동아대, 충남대, 전북대 등이 1명씩이었다. 윤석열 정부 1기 때는 서울대가 10명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직업군은 현역의원 9명을 포함해 정치인이 10명으로 편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