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정부 재정적자가 5월까지 54조
[앵커]정부 재정적자가 5월까지 54조 원을 기록한 가운데, 나랏빚이 사상 처음으로 1천2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아진 데다, 2차 추경까지 더해지면서 연말엔 빚이 1300조 원을 넘길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지웅배 기자, 나라 살림이 구체적으로 어땠나요?[기자]기획재정부는 오늘(10일) 5월 말 기준 재정동향을 발표했는데요.나라 살림을 뜻하는 관리재정수지가 54조 2천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지난해보다 적자 폭이 20조 2천억 원 줄어든 수준입니다.이는 법인세를 중심으로 총수입 증가분이 총지출을 크게 웃돈 영향인데요.세목별로 보면 법인세는 5월 누적 기준 42조 7천억 원으로, 기업실적 개선으로 직전 해보다 14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또, 해외주식 확정신고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소득세 역시 58조 원 가까이 걷히며, 6조 2천억 원가량 증가했습니다.5월 말 기준 총지출은 315조 3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4조 9천억 원 늘었습니다.[앵커]이게 추경안이 반영된 수치인가요?[기자]5월 통과된 1차 추경까지 반영된 수치로 2차 추경은 오는 9월 발표되는 7월 말 기준 재정동향에 반영될 예정입니다.5월까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천217조 8천억 원으로 처음으로 1천200조 원을 넘어섰는데요.중앙정부 채무는 2022년 1천조 원을 넘긴 뒤, 이듬해 8월 1천100조 원을 돌파했고, 2년도 채 안 돼 1천200조 원대로 불어났습니다.2차 추경안이 반영되면 당장 순수 빚만 25조 원 늘어날 걸로 보이는데요.정부는 국회에 제출한 2차 추경안을 통해 올해 나랏빚이 1천300조 원을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SBS Biz 지웅배입니다.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앵커]정부 재정적자가 5월까지 54조 원을 기록한 가운데, 나랏빚이 사상 처음으로 1천2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아진 데다, 2차 추경까지 더해지면서 연말엔 빚이 1300조 원을 넘길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지웅배 기자, 나라 살림이 구체적으로 어땠나요?[기자]기획재정부는 오늘(10일) 5월 말 기준 재정동향을 발표했는데요.나라 살림을 뜻하는 관리재정수지가 54조 2천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지난해보다 적자 폭이 20조 2천억 원 줄어든 수준입니다.이는 법인세를 중심으로 총수입 증가분이 총지출을 크게 웃돈 영향인데요.세목별로 보면 법인세는 5월 누적 기준 42조 7천억 원으로, 기업실적 개선으로 직전 해보다 14조 4천억 원 늘었습니다.또, 해외주식 확정신고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소득세 역시 58조 원 가까이 걷히며, 6조 2천억 원가량 증가했습니다.5월 말 기준 총지출은 315조 3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4조 9천억 원 늘었습니다.[앵커]이게 추경안이 반영된 수치인가요?[기자]5월 통과된 1차 추경까지 반영된 수치로 2차 추경은 오는 9월 발표되는 7월 말 기준 재정동향에 반영될 예정입니다.5월까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천217조 8천억 원으로 처음으로 1천200조 원을 넘어섰는데요.중앙정부 채무는 2022년 1천조 원을 넘긴 뒤, 이듬해 8월 1천100조 원을 돌파했고, 2년도 채 안 돼 1천200조 원대로 불어났습니다.2차 추경안이 반영되면 당장 순수 빚만 25조 원 늘어날 걸로 보이는데요.정부는 국회에 제출한 2차 추경안을 통해 올해 나랏빚이 1천300조 원을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SBS Biz 지웅배입니다.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앵커]정부 재정적자가 5월까지 54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