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13일 경기 평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urojoo 댓글 0건 조회 1회

본문

13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다. 2025.6.13/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4월 3일 시작된 미국의 25% 자동차 품목 관세 여파로 5월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27.1% 급감한 25억 1600만 달러를 기록했다.전달인 4월 수출액 28억 9000만 달러(전년 대비 19.6%↓)와 비교해도 수출액이 감소했고 낙폭도 커졌다.이에 따라 전체 자동차 수출도 4.4% 줄어 지난달에 이어 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2025년 5월 자동차산업 동향'을 통해 자동차 수출액이 62억 1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산업부에 따르면 이러한 대미 수출 감소는 △관세 부과 △전년도 호실적 대비 기저효과 △미국 내 생산 확대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풀이된다.미국의 관세 영향에 더해, 3월 준공된 현대자동차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이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가면서 대미 수출이 더 줄었다는 것이다.산업부 관계자는 "조지아 신공장 생산량은 4월 8000여대, 5월에는 1만대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앞서 지난해 5월 대미 수출액은 34억 5000만 달러로 크게 증가한 바 있는데,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수출액 감소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향후 관세와 미국내 현지 생산에 따른 대미 수출 감소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 "가까운 미래에 자동차 관세를 더 인상할 수도 있다"며 "관세가 더 높아질수록 그들이 미국에 공장을 지을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미국 자동차 수출은 27.1% 대폭 줄었지만, 아시아 45.1%(6억 8300만 달러), 중남미 42.3%(3억 800만 달러), 기타 유럽 30.9%(5억 1800만 달러) , 유럽연합(EU) 28.9%(8억 3700만 달러), 아프리카 43.7%(4000만 달러) 등 대부분 시장에서 수출 호조가 나타나면서, 전체 수출은 4.4%(62억 100만 달러) 감소에 그쳤다.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미국에서 감소한 수출 물량을 다른 시장에서 채우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중고차 수출이 50억 달러 수준인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튀르키예 이스탄불 협상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합의한 전사자 주검 인도가 완료됐다. 16일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이날 전쟁에서 전사한 주검 1245구를 추가로 송환 받았으며, 이로써 이스탄불 협상 이후 총 6057구의 주검을 받았다고 밝혔다. 루스템 우메로프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은 “오늘이 전사자 송환의 마지막 단계”라며 “이스탄불 합의 이행이 시작된 지난 주부터 우리는 6000구 이상의 주검을 인도받았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전사자 주검 1248구를 인도했으며, 지난 한 주간 총 6060구를 보냈다고 밝혔다. 양국이 발표한 수치는 다소 차이가 나지만, 주검 인도가 완료됐음을 양국이 모두 확인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지난 2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고위급 직접 협상에서 대규모 포로 교환과 전사자 주검 인도에 합의했다. 교환 일정과 방법을 두고 마찰을 빚었지만, 약 보름 동안 약속 이행을 결국 완료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전사자 주검 송환이었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로 중동에서의 불안이 극대화되자, 유럽연합이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과 러시아 제재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각종 방안들이 힘을 잃고 있다. 국제 유가가 불안정하면서 유럽연합(EU)이 추진해온 러시아산 원유 가격의 상한선 인하는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유럽연합은 16일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러시아산 원유의 가격 상한선 기준을 기존 배럴당 60달러에서 45달러로 낮추자고 제안했지만, 핵심 의제로 논의된 것은 중동의 긴장 완화였다. 러시아를 상대로 싸우고 있는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지 않도록 러시아 제재 강화를 계속해 주장했다. 안드리 시비하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에 “러시아는 세계의 시선이 중동에 쏠렸을 때 우크라이나 에너지망을 공격하고 있다”며 “30달러의 유가 상한, 그림자 선단에 대한 새 제재 등으로 푸틴에게 타격을 주면 평화 프로세스가 방해받지 않고 진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