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후 원코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3회본문
문성후 원코
문성후 원코칭 대표코치 [문성후 원코칭 대표코치] 조직생활을 하면 꼭 생기는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명함’입니다. 명함은 상대에게 나를 알리고 기억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모임에 가면 밥먹는 것보다 명함 교환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교환되거나 수집된 명함은 고급스러운 명함집에 고이고이 보관됩니다. 명함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명함은 단순히 이름표가 아닙니다. 명함은 연결의 도구입니다. 명함을 주고 받으면서 그때부터 연결이 시작됩니다.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조직을 나오면 단순히 소속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명함이 없어집니다. 명함이 없어지면서 연결의 고리와 기회가 없어지는 것도 모두 명함의 힘입니다. 명함 한 장으로 시작되는 연결을 우리는 ‘네트워킹(networking)’이라고 합니다.네트워킹은 말 그대로 네트(net)가 워킹(working)하는 것입니다. ‘인맥 관리’라고 부르기도 하며 말 그대로 자신의 인맥 전력망이 작동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고 협업과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활동입니다. 그래서 작동하지 않는 인맥은 ‘네트’라고 부를 수가 없습니다. 그들은 지인이라고 불립니다. 저는 기업에서 대관업무를 10여년간 해서 참 많은 인맥을 구축해본 적 있습니다. 저의 개인기라기보다는 제가 속한 회사와 명함 덕분이었습니다만, 어쨋든 새로 받는 명함 한장 한장에 이분과 어떻게 활용할지 메모하며 궁리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면서 느낀 점이 있습니다. 제대로 된 네트워킹은 세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첫째, 서로 교환할 것이 있는가? 둘째, 그 교환을 주고 받을 여건이 되는가? 셋째, 기꺼이 교환할 만큼 서로 믿는가? 사회생활을 하며 목적없는 교류와 만남을 계속 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서로 이해관계를 따지지 않고 계속 만나다 보면 도움도 된다는 말들을 합니다. 그런데 제 경우는 언제 비 올지 모르는 구름 밑에서 한없이 기다릴 여유는 없었습니다. 제가 출연한 한 유튜브 영상에서 제가 강조했던 포인트도 사람 만날 때 ‘돈’이 되거나, ‘재미’가 있거나 둘 중의 하나인 사람만 만나라는 조언이었습니다. 플랫폼 특성상 직관적이긴 했지만 특히 ‘가시비(시간 투입 대비 효과)’가 중요한 요즘 시대에는 사람을 만나고 그 사람과 교류하며 공을 들이는 데에도 지난 12일 경북 경주시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본사에서 신지현(왼쪽) 경영관리실장이 노사 협의를 함께 진행한 최준형(오른쪽) 조직문화혁신반 과장과 직무급 제도 도입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박상우(가운데) 원자력환경공단 처분운반팀 과장은 직무급 도입 후 업무 역량 및 성과를 인정받아 승진 연한보다 1년 조기 승진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제공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 방사성폐기물 운반 업무를 수행하는 처분운반팀의 박상우 과장은 승진 연한보다 1년 먼저 조기 진급했다. 원자력환경공단이 2022년 12월부터 기존 연공서열 방식 대신 직무 전문성과 성과를 평가하는 ‘직무급’ 보수체계를 도입하면서 특별승진 대상자로 선정됐다. 원전 등에서 발생한 방사성폐기물을 해상과 육상으로 사고 없이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선 고도의 업무 전문성이 필수적이다. 지난 12일 경북 경주시 원자력환경공단 본사에서 만난 박 과장은 “직무 관련 교육 등을 수료해 전문성을 높이려 노력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원자력환경공단은 현재 정규직 320여명이 모두 참여하는 직무평가를 통해 성과에 따라 보수를 차등화하고 조기 승진을 제공하는 직무급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관의 업무 특성에 맞춰 직무·성과 평가 제도를 새롭게 짰다. 전체 보수에서 직무급이 차지하는 비중도 기존 11.83%에서 2023년 이후 17.83%로 높였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지난 4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직무급 점검 결과’에서 고도화 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직무급 도입 과정이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 2018년부터 직무급 도입에 착수했지만 ‘직무급 반대’를 공약으로 신규 출범한 노조의 반발과 직원들의 불신으로 한 차례 도입이 무산됐다. 2021년 도입을 놓고 전 직원 투표를 했지만 찬성 의견은 11%에 불과했다. 신지현 원자력환경공단 경영관리실 실장은 “당시 직원들 사이에선 ‘굳이 이걸 왜 해야 하느냐’는 반응이 많았다”며 “직무급 제도가 무엇이고 왜 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직원들 입장에선 부정적 반응이 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도입 무산 이후 공단 측과 노조는 함께 대안 마련에 나섰다. 이른바 ‘기피직무’에 대한 보상
문성후 원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