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대선 패배, 반면교사 삼아 혁신의 출발점"계엄·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

본문

"대선 패배, 반면교사 삼아 혁신의 출발점"계엄·탄핵 정국 속에서 중심 잡기에 주력퇴임 후엔 강릉에 충성…중진 역할 이어가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퇴임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데일리안 = 오수진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6개월 간의 장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지난해 12월 12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시작된 탄핵 정국 속에서 원내사령탑을 맡았던 권 원내대표는 차기 지도부에게 '통합'을 당부하며 스스로는 당의 조용한 조력자를 자처했다. 이제 그는 한동안 돌아보지 못했던 지역구 강릉으로 향한다.권성동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원내대표 퇴임 기자회견을 열어 "우리는 윤석열 정부의 실패와 탄핵, 그리고 지난 대선에서의 패배를 반면교사로 삼아 성찰과 혁신을 시작해야 한다"며, 차기 지도부 선출을 두고 "무엇보다 성찰과 혁신이라는 가치가 당권투쟁으로 오염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권 원내대표는 "가업(家業)을 이어받을 때, 자산과 부채는 함께 승계된다. 정당도 마찬가지"라며 "우리는 제1야당이라는 자산이 있으면서, 동시에 윤석열 정부의 실패와 탄핵이라는 부채도 있다. 자산과 부채 중 하나만 취사 선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이어 "이번 대선 때 김문수 후보의 요청으로 계파 불용을 당헌에 신규로 넣은 것은, 지난날의 과오를 되풀이 하지 말자는 각오였다"며 "이제 차기 지도부가 우리 당의 아픔을 잘 치유해주길 바란다. 국민의힘이 분열의 늪을 벗어나 소속 의원 개개인이 모두 당을 위하는 정예로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권 원내대표는 지난해 12월 12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사퇴한 추경호 원내대표의 뒤를 이어 선출됐다. 하지만 6·2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1년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조기 퇴진했다.그는 원내대표 재임 기간 동안 통합과 화합의 리더십을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친윤계와 친한(한동훈)계 간 갈등 속에서도 균형감을 잃지 않고 중립을 유지해 왔단 점에서다. 이번 조기 사퇴 또한 계파 간 책임 공방을 선제 차단하고, 당내"대선 패배, 반면교사 삼아 혁신의 출발점"계엄·탄핵 정국 속에서 중심 잡기에 주력퇴임 후엔 강릉에 충성…중진 역할 이어가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퇴임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데일리안 = 오수진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6개월 간의 장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지난해 12월 12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시작된 탄핵 정국 속에서 원내사령탑을 맡았던 권 원내대표는 차기 지도부에게 '통합'을 당부하며 스스로는 당의 조용한 조력자를 자처했다. 이제 그는 한동안 돌아보지 못했던 지역구 강릉으로 향한다.권성동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원내대표 퇴임 기자회견을 열어 "우리는 윤석열 정부의 실패와 탄핵, 그리고 지난 대선에서의 패배를 반면교사로 삼아 성찰과 혁신을 시작해야 한다"며, 차기 지도부 선출을 두고 "무엇보다 성찰과 혁신이라는 가치가 당권투쟁으로 오염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권 원내대표는 "가업(家業)을 이어받을 때, 자산과 부채는 함께 승계된다. 정당도 마찬가지"라며 "우리는 제1야당이라는 자산이 있으면서, 동시에 윤석열 정부의 실패와 탄핵이라는 부채도 있다. 자산과 부채 중 하나만 취사 선택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이어 "이번 대선 때 김문수 후보의 요청으로 계파 불용을 당헌에 신규로 넣은 것은, 지난날의 과오를 되풀이 하지 말자는 각오였다"며 "이제 차기 지도부가 우리 당의 아픔을 잘 치유해주길 바란다. 국민의힘이 분열의 늪을 벗어나 소속 의원 개개인이 모두 당을 위하는 정예로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권 원내대표는 지난해 12월 12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사퇴한 추경호 원내대표의 뒤를 이어 선출됐다. 하지만 6·2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1년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조기 퇴진했다.그는 원내대표 재임 기간 동안 통합과 화합의 리더십을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친윤계와 친한(한동훈)계 간 갈등 속에서도 균형감을 잃지 않고 중립을 유지해 왔단 점에서다. 이번 조기 사퇴 또한 계파 간 책임 공방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