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1회본문
[서울경제] 재작년 새롭게 사회보험에 가입한 일자리 ‘진입자’가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진입자 감소 추세는 2년 연속 이어지고 있다. 직장을 옮긴 일자리 ‘이동자’ 중 임금이 감소한 비율도 38.4%에 달했다.통계청이 이번 주 발표한 ‘2023년 일자리이동통계’에 따르면 4대 사회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에 가입된 등록 취업자 수는 재작년 기준 2614만 5000명으로 전년 대비 0.3%(8만 8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등록 취업자는 진입자와 유지자, 이동자로 구분된다. 2023년 진입자 수는 364만 6000명으로 전년보다 6.8%(26만 5000명)나 감소했다. 2022년 2.9% 감소한 데 이어 감소 폭도 더 커지면서 진입자 수는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유지자는 2.9%(52만 1000명) 증가한 1854만 8000명, 이동자는 4.1% 감소한 395만 1000명으로 집계됐다. 일자리 진입과 이동이 동시에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2018년에서 2023년 사이의 일자리 이동 규모와 비율을 보면 시간이 흐를수록 유지율은 점차 감소하고 이동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재작년 기준 이동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였다. 29세 이하(21.1%), 30대(15.6%), 60세 이상(14.1%) 순이었다. 동일한 직장에 재직 중인 유지율은 40대(78%), 50대(77.4%), 30대(72.5%) 순으로 높았다.재작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이동률은 12.1%를 기록했다. 2020년(10.1%), 2021년(11.1%), 2022년(12%) 등 3년째 비중이 늘고 있다. ‘중소기업→중소기업’ 이동률(81.3%)이 여전히 압도적인 가운데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향한 케이스도 56.5%였다.재작년 일자리를 옮긴 223만 6000명(일용 및 특수형태 근로자 제외) 중 60.7%는 임금이 증가했다. 38.4%는 오히려 임금이 줄어들었다. 전년에 비해 임금이 증가한 일자리 이동 비율은 4.4%포인트 하락하고 임금이 감소한 일자리 이동 비율은 4.4%포인트 상승했다.연령별로는 50~59세, 60세 이상의 임금 감소 일자리 이동 비율이 각각 41.7%, 41.1%로 40%를 웃돌았다. 아직 일할 만한 팔팔한 중장년층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고임금에서 저임금으로 몸값을 낮춰 이동하는 트렌드가 생겨나고 있는 것으[앵커]오늘(6일) 현충일 밀착카메라는 나라를 위해 전쟁터로 나섰던 학생들, 학도병들의 이야기입니다. 어린 나이에 전사한 이들은 후손도 없고 관련 자료도 부족한데다 추모비마저 외롭게 방치되고 있습니다.정희윤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기자]팔공산 서촌 지역 마을 청년 59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는 현충비를 찾으러 왔습니다.하지만 그 어디에도 이 현충비에 대한 정보나 위치가 잘 나와 있지 않아서 이 초등학교 인근이라는 말만 듣고 이곳에 왔는데요.이 주택 단지로 들어가는 샛길로 조금 들어와 보니 저 멀리 비석이 하나 보입니다.주택가 한 켠 덩그러니 놓인 이 비석.가까이서 보니, 정면에 '현충비'라는 글씨가 보이고 태극 무늬도 있습니다.1962년, 이 마을 출신 학도병을 추모하기 위해 지금의 보훈청격인 대구지방원호청이 마을사람들과 함께 세웠습니다.비석엔 당시 원호청장 이름까지 새겨져있지만, 이젠 방치된 신세입니다.10년 넘게 매일 이 동네를 오가는 택배기사도 현충비의 존재를 모를 정돕니다.[택배 기사 : 이게 현충비였어요? 마을을 표지하는 돌인 줄 알았어요. 올라오면 돌이 항상 보였고요. (지금은) 울타리 있잖아요. (원래) 없었어요.]어린 나이 참전해 자손이 없는 경우가 많은 학도병.세월이 흐르며 이런 '마을 단위 현충비'가 방치되고 있는 겁니다.대구 동구청 관계자는 "예산을 확보하는대로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정비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비슷한 경우는 더 있습니다.전북 전주시의 한 마을 뒷산.꽤 웅장한 크기의 현충비가 있습니다.전북지역에서 전사한 6.25 참전 학도병 500여명을 추모하기 위해 1962년 세워진 순국학도현충비입니다.전우를 기리기 위해 일주일에 한번은 이곳을 들른다는 김창균 옹.6.25 전쟁 발발 3일 째 16살의 나이로 참전했던 당시 상황을 똑똑히 기억합니다.[김창균/6·25 참전 학도병 : 나보다 더 어린 사람도 있었어요. 인민군들 앞에 있을 때 그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면서 총질할 때 그런 생각이 많이 나고…]코로나 이전까진 여기서 추모제도 열렸지만, 이제는 돈도, 사람도 없어 몇 년째 사실상 방치 중입니다.[하태승/6·25 참전 전사 학도병 조카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