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의 최종 목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건 조회 2회본문
암 치료의 최종 목표는 암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피부암도 마찬가지다. 피부암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저세포암의 경우, 외과적 수술을 통해 암을 절제(切除)함으로써 완치할 수 있다. 문제는 몸속 장기에 생기는 암들과 달리, 피부암은 수술 후 눈에 보이는 흉터가 남는다는 점이다. 특히 기저세포암·편평세포암은 발생 부위가 주로 얼굴이라는 점에서 더 문제가 된다. ‘치료만 하면 됐지 흉터가 대수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수술 후 얼굴에 큰 흉터가 남아 외부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가 하면, 흉터에 대한 우려 때문에 암을 발견하고도 수술을 망설이는 환자들도 있다. 피부암을 치료하는 많은 의사들이 암 제거 수술 못지않게 피부 재건 수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고려대 구로병원 한승규 교수를 만나 피부암 치료와 재건 수술에 대해 들었다. 고려대 구로병원 성형외과 한승규 교수 / 고려대 구로병원 제공 -피부암은 주로 서양인에게 발생하는 암 아닌가?“2023년 논문을 통해 보고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피부암 환자 수는 1999년 인구 10만명당 2.6명에서 2019년 18.5명까지 증가했다. 20년 사이에 환자 수가 7배 늘어난 거다. 피부암이 있어도 진행되기 전까지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유병률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한다. 피부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장기간 자외선 노출인데, 한국인 수명이 늘어나고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피부암 환자 또한 많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피부암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대표적인 피부암은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악성 흑색종 세 가지다. 통계마다 오차가 있어서 정확한 비율을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피부암의 60% 정도는 기저세포암, 20%는 편평세포암이다. 악성 흑색종이 10% 미만이고, 이외에 여러 암들이 있다. 악성 흑색종의 경우 비율은 낮지만, 기저세포암과 달리 암이 깊이 침투하고 잘 전이돼서 예후가 안 좋다.”-피부암 고위험군은?“업무 등으로 인해 햇빛에기후 위기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시급하고 중차대한 사안이다. 기후 위기와 금융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돈이 어느 쪽으로 흘러가는가에 따라 위기를 증폭시킬 수도 있고, 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글은‘기후 위기 시대, 금융이 수행해야 할 책임과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이후 몇 차례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다. <기자말>[문진수 기자]최근 '전환금융'이라는 낯선 단어가 등장해 회자하고 있다. 전환금융이란 중공업, 운송, 에너지, 농업 등 탄소집약적 산업의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금융을 일컫는 용어다. 탄소를 많이 발생시키는 영역이 탄소중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금융이라고 볼 수 있다.세계 200여 개 금융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유엔 산하 '환경계획 금융 행동(UNEP FI)'은 기후·환경과 관련된 금융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①지속가능금융(sustainable finance) : ESG 요소를 감안한 금융 ②녹색금융(green finance) : 제반 환경적 요소를 감안한 금융 ③기후금융(climate finance) : 기후변화 요소를 감안한 금융 ①지속가능금융 중 측정 가능한 변화를 창출하려는 시도를 ④임팩트금융(impact finance)이라 부르며, 고탄소 발생 산업의 탈탄소화를 돕는 ⑤전환금융(transition finance)은 이 범주에 포함된다. 이 기준에 따라 각 금융의 활동 범주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기후·환경 관련 금융의 활동 범주Navigating Transition Finance : An Action List (2024.3 / CFA Institute), 기자 재작성ⓒ 문진수 바깥쪽 큰 삼각형이 ①지속가능금융이다.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시장 원리를 통해 해결하려는 접근법을 일컫는 개념으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가 꼭짓점을 이루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이 재무적 요소만 중시하는 반면, 지속가능금융은 비재무적 요소까지 함께 고려한다는 특징이 있다. 연두색 삼각형이 ②녹색금융이다. 생물다양성 보존, 오염 방지, 기후변화 대응 등 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