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우원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

본문

우원식 국회의장,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국민연금 개혁안 합의문을 들고 있다 / 사진=한국경제신문 강은구 기자 27세 김동욱(가명) 씨는 국민연금을 믿지 않는다. 1997년생인 그는 월 300만원을 받는 직장인이다. 지금까지는 국민연금 보험료율(내는 돈) 9%에 따라 매달 27만원을 납부했다. 절반은 회사가 부담해 김 씨가 실제로 내는 금액은 13만5000원이다.하지만 내년부터는 상황이 달라진다.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한 연금개혁안에 따라 보험료율은 2026년부터 매년 0.5%포인트씩 오르고 2033년에는 13%가 된다. 임금이 오르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김 씨의 월 납입액은 27만원에서 39만원으로 12만원가량 늘어난다.받는 돈도 올라간다. 개정안에 따라 소득대체율이 40%에서 43%로 올라가면서 김 씨는 기존에 예상되던 월 120만원보다 9만원 많은 129만원의 연금을 수령하게 된다. 김 씨는 군복무도 마쳐 기존 6개월에서 12개월로 확대된 군복무 크레딧에 따라 연금 가입 기간이 늘어난다. 이에 따라 첫해 연금은 약 2만5000원 늘어난다.정부는 이번 개편으로 연금기금 고갈 시점을 2056년에서 2064년으로, 기금 수익률에 따라 2071년까지 늦출 수 있다고 말한다. 또 국민연금공단은 “기금이 고갈돼도 부과식 체계로 넘어가므로 시스템 자체가 무너지지는 않는다”고 설명한다. 부과식은 그해 필요한 재원을 당해에 납부자들로부터 걷는 방식이다.하지만 부과식 연금에도 전제가 있다. 받는 사람보다 내는 사람이 많아야 한다. 청년층이 급감하는 현재의 인구 구조에서는 지속가능성이 불투명하다. 2071년 김 씨의 나이는 만 74세다. 수급 개시 연령이 지금처럼 65세로 유지된다고 해도 연금을 받은 지 9년 만에 기금이 바닥날 수 있다는 얘기다. 김 씨는 “진짜 그 돈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하지만 그가 문제를 제기하면 “부모님 연금을 깎자는 말이냐”는 반응이 돌아온다. ‘세대 간 연대’를 표방한 국민연금이 오히려 세대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국민연금 개혁의 성과는국민연금은기후 위기는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시급하고 중차대한 사안이다. 기후 위기와 금융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돈이 어느 쪽으로 흘러가는가에 따라 위기를 증폭시킬 수도 있고, 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글은‘기후 위기 시대, 금융이 수행해야 할 책임과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이후 몇 차례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다. <기자말>[문진수 기자]최근 '전환금융'이라는 낯선 단어가 등장해 회자하고 있다. 전환금융이란 중공업, 운송, 에너지, 농업 등 탄소집약적 산업의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금융을 일컫는 용어다. 탄소를 많이 발생시키는 영역이 탄소중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금융이라고 볼 수 있다.세계 200여 개 금융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유엔 산하 '환경계획 금융 행동(UNEP FI)'은 기후·환경과 관련된 금융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①지속가능금융(sustainable finance) : ESG 요소를 감안한 금융 ②녹색금융(green finance) : 제반 환경적 요소를 감안한 금융 ③기후금융(climate finance) : 기후변화 요소를 감안한 금융 ①지속가능금융 중 측정 가능한 변화를 창출하려는 시도를 ④임팩트금융(impact finance)이라 부르며, 고탄소 발생 산업의 탈탄소화를 돕는 ⑤전환금융(transition finance)은 이 범주에 포함된다. 이 기준에 따라 각 금융의 활동 범주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기후·환경 관련 금융의 활동 범주Navigating Transition Finance : An Action List (2024.3 / CFA Institute), 기자 재작성ⓒ 문진수 바깥쪽 큰 삼각형이 ①지속가능금융이다.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시장 원리를 통해 해결하려는 접근법을 일컫는 개념으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가 꼭짓점을 이루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이 재무적 요소만 중시하는 반면, 지속가능금융은 비재무적 요소까지 함께 고려한다는 특징이 있다. 연두색 삼각형이 ②녹색금융이다. 생물다양성 보존, 오염 방지, 기후변화 대응 등 환경과 관련된 제반 요소를 감안한 금융으로, 이중 기후에 특화된 영역(파란색 원)을 ③기후금융이라고 부른다. 녹색금융은 기후금융을 포괄한다.빨간색 원이 ④임팩트금융 영역이다. 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