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경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건 조회 3회

본문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경호처의 체포영장 저지 혐의를 수사 중인 경찰이 12·3 비상계엄 전후 상황이 담긴 비화폰(도·감청 방지 휴대전화) 서버 기록을 확보하면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조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비화폰 서버는 ‘스모킹건’(결정적 증거)이 될 것으로 보인다. 25일 경찰청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에 따르면 특수단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22일까지 약 한 달 동안 비화폰 서버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작업을 완료하고 경호처로부터 비화폰 서버 기록을 임의제출받았다. 수사기관이 경호처 비화폰 서버 기록을 확보한 것은 처음이다. 경찰은 지난해 12월11일부터 비화폰 서버 확보를 위해 7차례 경호처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고 이번에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에 성공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4차 오전 공판을 마친 후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비화폰 서버는 이틀마다 자동으로 기록을 삭제하도록 설정됐다. 특수단은 이를 포렌식 작업을 통해 복구하고 증거 능력을 보존하는 데 시간을 쏟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단 관계자는 “2일마다 자동으로 삭제된 비화폰 서버 기록을 거의 대부분 복구해 확보했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원이 도·감청이 불가능하도록 제작한 비화폰은 통신사에 기록을 남기는 일반 전화와 달리 통화 기록을 자체 서버에만 저장한다.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한 내란 관련 핵심 인물들이 비화폰을 통해서만 소통한 만큼 서버 확보는 내란 전후 상황을 규명할 핵심 증거로 여겨졌다. 다만 특수단이 이번에 확보한 비화폰 서버 기록은 압수수색 영장에 적시된 윤 전 대통령, 박종준 전 대통령경호처장, 김성훈 경호처 차장 등과 관련한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 관련으로 제한됐다. 비상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3일부터 지난 1월22일까지 일부 기록만 확보된 셈이다. 경호처 관계자는 포렌식 과정에 함께 참관하면서 이를 선별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오른쪽)가 25일 오후 충남 당진전통시장 유세장에서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특정인을 겨냥해 과녁 삼는 정치 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며 “대립과 갈등의 정치가 만들어낼 악순환의 고리를 반드시 끊겠다”고 했다. 당진=이훈구 기자 ufo@donga.com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25일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연 첫 기자간담회에서 “정치 보복은 없다”는 점과 “집권 시 최우선 과제는 민생 회복”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면 이념과 진영을 가리지 않고 실행하겠다”며 탈이념 기조도 강조했다. 선거가 종반부에 접어들면서 보수진영 결집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자신의 ‘호텔 경제학’과 ‘커피원가 120원’ 등의 논란성 발언 여파로 여론조사상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가 줄어들자 다시 중도층 표심에 호소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주까지 “내란 응징”을 외치며 검찰을 향해 “제정신인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던 이 후보는 이날 사법·검찰개혁을 후순위로 미루며 ‘집권 후 민생 회복’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정치 보복 끝내야… 사법·검찰개혁은 후순위”이 후보는 약 80분 동안 이어진 기자간담회에서 “대립과 갈등의 정치가 만들어낼 악순환의 고리를 반드시 끊겠다”며 “분열의 정치를 끝내고 통합의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국민 통합을 상징하는 차원에서 이날 빨간색과 파란색이 섞인 넥타이를 착용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사법·검찰개혁은 민생 회복 이후의 과제라고 했다. 그는 모두발언에서만 ‘경제’를 11번, 민생을 4번 언급하면서 “사법개혁, 검찰개혁, (검경) 수사권 조정 다 중요한데, 여기에 조기에 주력해서 힘을 뺄 상황은 아니다”며 “지금은 모든 에너지를 경제, 민생 회복에 둬야 한다”고 했다.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는 박범계 의원이 대법관 정원을 30명으로 늘리고 비(非)법조인도 대법관으로 임용될 수 있도록 하는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한 데 대해서도 “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