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명품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건 조회 3회본문
중고명품
마르형 습지 '하논'의 수생식물 설명하는 김찬수 소장 (서귀포=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람사르습지도시 어린이 습지탐사대 1기 학생들이 25일 오전 서귀포시에 있는 국내 최대 마르형 분화구인 '하논'을 탐사한 가운데 김찬수 사단법인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소장이 수생식물을 채취해 보여주며 설명하고 있다. 2025.5.25 khc@yna.co.kr (서귀포=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25일 오전 10시 제주 서귀포시 도심 인근 하논분화구 방문자센터.노란색 조끼와 장화, 챙 넓은 모자를 착용한 초등학교 4∼5학년 어린이 14명이 2명의 생태해설사와 사단법인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의 김찬수 소장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며 '어린이 습지탐사대 1기' 발대식 기념사진을 찍었다.탐사대는 이어 계단을 따라 약 90m 아래 형성된 습지인 하논으로 이동했다.탐사대는 4∼5명씩 짝을 지어 하논, 분화구, 습지라는 팀을 구성해 생태해설사를 따라 논둑길을 다니며 우렁이를 잡아보고 잠자리채로 곤충을 채집하기도 했다.또 습지식물인 골풀과 세모고랭이 줄기를 잘라내 목에 걸고 있던 확대경(루페)으로 물을 잘 흡수할 수 있게 구멍이 나 있는 줄기 속 구조를 살펴보기도 했다.습지 물이 고여 흐르는 개울에서는 김찬수 소장이 수생식물인 개구리밥, 말즘, 사마귀풀, 클로렐라 등을 채취해 간단한 설명을 해줬다.탐사대원들은 공터에 모여 '습지식물관찰기록지'를 하나씩 받아 들고 자신들이 관찰하고 싶은 식물 이름을 고른 뒤 해당 식물을 찾아 사진을 찍고 기록하는 작업을 이어갔다.대원들은 기록지에 식물 이름을 국명과 학명으로 적고, 발견 장소와 관찰 날짜를 분 단위까지 적었다.식물의 줄기와 잎 모양, 꽃이나 열매의 색과 모양, 전체적인 크기, 냄새나 촉감 등도 기록했다.이날 하논 탐사는 2시간여만에 끝났다.탐사대는 이번 봄 탐사에 이어 7월 13일, 9월 7일, 10월 19일에 세 차례 더 하논을 탐사하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생태를 관찰할 계획이다.하논 탐사가 모두 마무리되면 외국 습지도시의 어린이들과 함께 탐사 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도 이어질 예정이다. 하논은 약 5만년 전에 생성된 국내 최대의 마르(maar)형 분화구로, 생성 이후 지금까지의 기후, 지질, 식생 등 환경정보가 고스란히 보관된 생태계의 타임캡슐로 평가된다.하논분화구 내 남북 간 ◆ 관세전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로운 관세 부과를 경고하면서 그 시점을 오는 6월로 제시해 주목된다. 지난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일부터 유럽연합(EU)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데 이어 애플뿐만 아니라 삼성 등 해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최소 25% 관세를 6월 말께 부과할 것이란 방침을 내비쳤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오는 7월 8일이어서 그 전까지 관세전쟁이 잠잠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관세 부과에 고삐를 죄면서 한국이 추진하는 '7월 패키지 딜'에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에 관심이 집중된다.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변화에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도대로 움직이지 않는 데 따른 좌절감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과의 관세전쟁에서 대중 관세를 145%까지 올렸던 트럼프 행정부는 시장 역풍에 밀려 지난 12일 중국과 관세를 30%로 인하하는 내용을 담은 '잠정적' 무역 합의를 이뤘다. 이 과정에서 '체면을 구긴' 트럼프 대통령이 우방국은 물론 자국 대표 기업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자 관세전쟁 '휴전' 2주 만에 자신의 '게임의 법칙'을 들고나온 셈이다.한마디로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대로 빠른 협상을 추진하는 국가에는 '선물'을, 그렇지 않은 국가에는 '페널티'를 주겠다는 메시지는 분명히 드러냈다는 분석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EU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고, 아이폰 등 해외 생산 스마트폰에 최소 25% 관세를 책정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그는 트루스소셜에서 EU와의 무역협상에 대해 "매우 어렵다"고 언급했다. 또한 30분 만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를 지목하며 "나는 오래전에 팀 쿡에게 미국에서 판매될 아이폰이 미국에서 제조·생산되기를 원한다고 전했던 바 있다"고 협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삼성·애플 스마트폰에 대한 최소 25% 관세가 6월 말께 시작될
중고명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