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3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2회본문
2025년 5월 13일
2025년 5월 13일 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 해제 약속에 기뻐하는 시리아 홈즈 주민들 ■ 트럼프의 시리아 제재 해제, 절망의 땅에 희망5월 13일 밤, 시리아 다마스쿠스 우마이야드 광장은 14년 만에 가장 뜨거운 밤을 맞았습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 리야드에서 시리아 제재 해제를 발표하자,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춤을 추며 환호했습니다.열흘 뒤인 현지 시각 23일, 트럼프의 약속은 현실이 됐습니다.미국 재무부와 국무부가 46년간 지속된 대시리아 제재의 첫 해제 조치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내전으로 파괴된 시리아 알레포의 건물들 (2025년 4월 19일) ■공무원 월급 최대 25달러 시리아인들에게 제재 해제가 절실했던 이유는 시리아의 경제 상황이 참혹하기 때문입니다.시리아 재무장관 모하메드 이슬르 바르니에는 시리아의 현 상황을 다음과 같이 증언했습니다."공무원 최대 월급이 25달러를 넘지 않습니다. 일부는 10달러도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내전 막바지엔 이마저도 제대로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시리아 정부 재무부 관계자들은 "백30만 명의 공무원들이 이런 절망적 임금으로 생활해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사드 전 대통령 얼굴이 새겨진 시리아 파운드 지폐 (2020년 3월) ■83% 증발한 경제, 2천4백만 인구의 90%가 빈곤숫자들이 말해주는 시리아의 현실은 더욱 참담합니다.세계은행의 야간 조도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 2024년 시리아 경제는 2010년 대비 83%가 축소됐습니다.시리아 정부는 경제 규모가 '절반 축소'됐다고 밝히고 있지만, 세계은행의 진단은 이보다 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겁니다.UNDP(유엔개발계획)에 따르면 2천4백만 인구의 90% 이상이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4명 중 1명은 실업자입니다.2010년 백84억 달러에 달하던 수출은 2024년 10억 달러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됩니다.가장 극적인 변화는 통화가치입니다.시리아 파운드는 내전 전 1달러당 47파운드에서 아사드 정권 붕괴 시점엔 2만 2000파운드까지 폭락했다가, 1만 1000파운드 내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리 고공농성 500일을 열흘 앞둔 2025년 5월11일, 박정혜씨가 불탄 공장 안을 바라보고 있다. 신다은 기자 주차장은 텅 비어 있다. ‘일시정지’ 문구가 무색하게 아무도 없다. 한때는 차가 많아 직원들이 정지선에 서서 좌우를 둘러보고 다녔을 정도였다. 지금은 차도 한가운데 돗자리를 펴도 될 정도다. “원래 이렇게 고요한 공간이 아니었거든요. 굉장히 시끌시끌하고 사람도 많았는데 지금은 말 그대로 바람 소리 외에는 고요해요.” 옥상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박정혜씨가 말했다.그 고요함이 싫다. “오래 기다리다보면 사람들한테 잊히거든요. 친구들도 더 이상 연락이 안 오고. 연대는 꾸준히 이어져요. 그런데 이 공간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그냥 조용해요. 그 텅 빈 곳을 저는 매일 보고 있잖아요. 그러다보니 허전하고 마음이 외롭죠.”465명 자르더니…코로나 때 일손 필요하니 도로 불러옥상에 올라오자 뜨거운 열기가 훅 끼친다. 고개를 돌리니 불탄 공장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정혜씨는 1년4개월 전인 2024년 1월8일, 경북 구미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공장의 9m 높이 출하동 옥상에 스스로를 가뒀다. 노동자를 버려두고 구미 공장을 철수한 일본 그룹 니토덴코에 고용 승계를 촉구하기 위해서다. 어느새 사계절이 지나 2025년 5월21일로 농성 500일을 맞았다. 어떤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이겨낸 걸까. 앞으로 얼마나 더 버텨야 하는 걸까. 500일을 열흘 앞둔 5월11일 한겨레21을 포함한 굴뚝신문 취재진이 옥상에 올라 정혜씨와 1박2일을 함께했다.정혜씨는 2011년 한국옵티칼하이테크 공장에 입사했다. 엘지(LG)에 엘시디(LCD) 편광필름을 납품하는 일본 니토덴코그룹의 한국 자회사다. 2004년 니토덴코의 투자금 200억원으로 시작한 한국옵티칼은 10년 만에 8천억원을 버는 회사로 성장했다. 구미시의 50년 토지 무상 임대와 각종 세금 혜택을 톡톡히 본 덕이다. 그러나 회사는 손쉬운 구조조정을 택했다. 2019~2020년 563명 중 465명을 희망퇴직으로 내보냈다. 이들 중 100여 명은 코로나19 때 손을 빌린다며 도로 불러들이기도 했다. 급기야 2022년 12월, 공장에 불이 나자 니토덴코는 화재보험금 수백억원(전자공시 기준 최대 1300억원)을 수령한 뒤 공장을 아예 닫았다. 노동자를 버려두고 생산 물량만 평택 공장 ‘니토옵티칼’로 이전했다.
2025년 5월 13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