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박장식 기자]▲  지난 5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5회

본문

[박장식 기자]▲  지난 5 [박장식 기자]▲ 지난 5월 18일 시민항쟁버스 운영위원회와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함께 운행한 '5.18 사적지 투어 버스'가 광천동 재개발지구에 정차해 있다.ⓒ 박장식 마흔다섯 번째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맞이한 지난 18일 광주광역시 구도청 앞 5.18민주광장. 수십 년 전 옛 시내버스가 생각나는 행선판에는 '505보안대', '무등경기장' 등이 적혀 있었다. '시민은 도청으로', '오월의 광주가 빛의 혁명으로'와 같은 문구가 앞뒤에 붙은 이 버스는 실제 20세기에 생산된 '아시아자동차'의 중형버스를 활용해 운행하는 '레트로 버스'. 지난 12.3 내란 정국 당시 시민들과 함께했던 시민항쟁버스 운영위원회와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가 함께 의기투합해 운행한 '5.18 사적지 투어 버스'였다.5.18 기념재단 해설사가 탑승한 '5.18 사적지 투어 버스'는 18일 단 하루 운행했고, 어쩌면 다시 운행할 수 없을지도 모르는 만큼 타러 가지 않을 수 없었다. 두 시간 동안 광주를 한 바퀴 돌았던 레트로 버스는 어떤 여정을 거쳤을까.버스 곳곳에 묻어난 '12.3 내란' 극복의 흔적5.18민주광장 한복판에 특별한 정류장이 생겼다. '레트로버스' 표지판을 달고 있는 정류장에는 버스 노선도 대신 출발 시간표가 놓였다. 오전 11시부터 네 차례 운행을 안내하는 시간표 옆에는 시민항쟁버스 운영위원회에서 써넣은 '매진' 표시가 선명하다.정류장에 서 있는 버스는 더욱 특이하다. 1980년대에서 90년대까지 생산된 '아시아자동차'(현재의 기아) 중형 차량인 AM828, '코스모스' 버스가 옛 광주시내버스 도색을 하고 서 있다. 버스 한쪽에는 '앞서서 나가니 산자여 따르라'라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와 5월 17일 전야제의 '버스 꾸미기' 행사 때 시민들이 적어 놓은 메시지가 남아 있다. 시민항쟁버스 운영위원회 민동혁 대표는 "전날 호스가 빠져서 변속기가 먹통이 되어 하마터면 운행을 못 할 뻔했다"라면서, "다행히도 지역의 한 호스 업체 사장님께서 '자기도 중학생 때 5.18을 겪었다'며 늦은 밤에도 도와주신 덕분에 운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타인의 유실물을 자기 것인 것처럼 속여 여러 차례에 걸쳐 현금과 귀금속 등을 가로챈 40대가 징역형의 실형을 선고받았다.전주지법 정읍지원 형사1단독(윤봉학 판사)은 사기 및 업무방해, 점유이탈물횡령 등 혐의로 기소된 A씨(40)에게 징역 2년 2개월을 선고했다고 24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A씨는 2023년 6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경찰서와 지하철, 공항의 유실물센터에서 다른 사람이 분실한 물건을 받아서 자신이 쓴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경찰청 유실물 종합안내 사이트인 '로스트(LOST)112'를 통해 유실물의 정보를 파악했다. 이 사이트에는 습득한 유실물이나 자기가 잃어버린 물건과 관련한 정보를 발견 또는 분실 장소, 시각 등과 함께 올릴 수 있다. A씨는 해당 사이트를 보고 미리 유실물의 종류와 분실 일자와 사진 등 간단한 정보를 파악한 뒤 유실물센터를 찾아갔다. 그는 담당자에게 "잃어버린 물건을 찾으러 왔다"고 거짓말을 한 뒤 해당 물품을 가로챘다. A씨는 이 같은 수법으로 전국을 돌며 5차례에 걸쳐 다른 사람 소유의 백화점 상품권과 현금, 유로화, 지갑, 금팔찌 등을 챙겼다. 한 번은 미리 파악한 정보로 지하철 유실물센터에서 금반지를 받아 가려고 했으나 역무원이 "본인확인을 위해 신분증과 교통카드를 보여달라"고 요구해 범행이 들통날 위기에 처하자 그대로 달아나기도 했다. 이 밖에도 A씨는 지난해 7월 버스정류장에 떨어진 타인의 체크카드를 주워 전자기기 매장에서 114만원 상당의 스마트 워치를 구매한 혐의도 함께 받는다. A씨는 2021년 5월 상습사기죄로 징역 1년 4개월을 선고받고 2022년 3월 출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또다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누범기간 중에 유실물을 보관·관리하는 직원들을 속여 재물을 편취하고 업무를 방해해 그 죄질이 매우 불량하다"며 "게다가 같은 수법으로 여러 차례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데도 또 범행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형 이유에 대해 "비록 일부 피해 물품이 반환되기는 했으나 법원의 출석요구도 무시한 채 재판 중에도 범행하는 등 재범 위험성이 높아 그에 상응하는 형의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박장식 기자]▲  지난 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