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앵커]5월인데도 한여름 같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6회

본문

[앵커]5월인데도 한여름 같은 이른 더위가 지난 며칠 기승을 부리면서 올해 여름은 또 얼마나 더울까, 얼마나 잠 못 드는 날이 많을까, 벌써부터 걱정인데요.지난해 기록적인 열대야를 겪은 터라 더 그렇습니다.열대야도 결국은 탄소 배출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이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면 '극한 열대야'가 2~3년 주기로 닥칠 거라는 경고가 나왔습니다.신방실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리포트]해가 거의 떨어졌는데도 한강변 공기는 후덥지근합니다.본격적인 여름은 한참 남았는데 벌써 열대야가 찾아오는 건지 시민들은 걱정합니다.[진하랑/광주광역시 북구 : "이번 주부터는 너무 더워져서 여름 이불도 꺼내고 곧 열대야가 찾아올까 봐 너무 두려워요."]지난해 열대야는 6월 강릉 지역에서 처음 관측돼, 9월까지 이어졌습니다.특히 9월 전국 평균 열대야 일수는 4.3일로, 평년 수준의 40배를 넘었습니다.가을에 접어든 9월이면 밤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데, 열 고기압의 이례적인 확장이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을 막았던 겁니다.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 주변 바다가 평년보다 3~4도 달아오르며 많은 수증기가 밀려든 것도 원인이었습니다.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이런 극한 열대야는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산업화 이전 대비 온난화 폭이 1.5도 수준일 경우 51년에 한 번 수준이지만, '2도 온난화'에선 10년에 한 번으로 잦아집니다.'2.5도 온난화'에선 2~3년마다 극한 열대야가 찾아올 것으로 예측됐습니다.[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0.5도, 1도 이 정도 차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겪게 되는 입장에서는 전례 없었던 그런 더위가, 늦더위가 찾아와서 큰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합니다."]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재앙적인 수준으로 치닫기 전에 보다 적극적인 탄소 감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촬영기자:조용호 서원철/영상편집:강정희/그래픽:여현수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신방실 기자 (weezer@kbs 22일 오후 서울 광진경찰서가 건국대에서 부스를 진행하고 있다. 문이림 수습기자.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친구 하실래요?”경찰범죄 예방 정보를 전하는 ‘광진경찰 알림톡’과 친구를 맺자는 경찰의 제안이었다.지난 22일 오후 일감호를 따라 축제 공연을 보려는 학생들이 길게 줄을 선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 캠퍼스 한복판. 서울 광진경찰서는 이날 건국대 축제 ‘녹색광선’ 기간 중 캠퍼스에 부스를 설치했다. 여성청소년과, 형사과, 교통과, 범죄예방대응과가 참여해 실생활과 맞닿은 범죄예방 정보를 전했다.여성청소년과 부스에서는 마약류를 이용한 성범죄 예방을 위한 홍보가 진행됐다. 박주현 경사는 “무색무취의 마약은 냄새도 없어 술에 타도 알아차리기 어렵다”며 “의심스러운 상황이 발생하면 간이 시약 키트를 활용해 확인하라”고 설명했다.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김지원(23) 씨는 “마약이 리트머스 종이로 확인된다는 게 신기하다”며 “사용법을 들으니 직접 대처할 수 있겠다”고 했다.이현영 경사는 불법촬영 탐지용 필름 ‘몰카캐치’를 나눠주며 시연에 나섰다. 이 경사는 빨간색 필름을 집어 들고 “초소형 카메라가 숨어 있으면 이 필름에 빛이 반사돼요”라고 설명하며 휴대폰 카메라 렌즈에 휙휙 비춰보였다. 학생들은 눈을 동그랗게 뜨고 그 움직임을 따라가며 고개를 끄덕였다. 행정학과 오유민(24) 씨는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때마다 몰래 카메라가 있을까 걱정이 됐다“며 ”이 필름을 휴대폰 케이스 안에 끼워 다니며 확인하겠다“고 했다. 22일 오후 서울 광진경찰서가 건국대에서 부스를 진행하고 있다. 문이림 수습기자. 범죄예방과가 준비한 피싱 문자 퀴즈도 학생들의 관심을 끌었다. 경찰이 제시한 가상의 문자에는 부고 안내, 결혼식 일정, 건강검진 통지서 등 링크가 포함돼 있었다. “눌러도 되는 링크는?”라는 질문에 학생은 “1개”라고 답했다. 정답은 0개였다. 사학과 조윤경(25) 씨는 “피싱이 남의 일인 줄 알았는데 친구가 대학 등록금을 통째로 날렸다”며 “퀴즈에 나온 사례를 유의해야겠다”고 말했다.형사과 부스 앞에서는 경찰관이 학생들 앞에서 사칭 전화를 받는 듯한 상황극을 펼쳤다. 김승종 경사는 경찰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