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길들이기' 극단 조치트럼프 정부-하버드 갈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본문
'대학 길들이기' 극단 조치트럼프 정부-하버드 갈등'反유대주의 근절' 요구 거부하자美 정부, 외국인 등록 인증 취소6800여명 전학 안가면 추방 위기반전 시위·DEI 정책이 '도화선'26억달러 연구자금 지원도 끊어안보장관, 타대학에도 적용 시사"美서 쫓겨나나"…유학생들 '패닉'미국 하버드대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학교를 옮기거나 최악의 경우 본국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하버드대를 상대로 외국인 학생을 받지 못하도록 결정하면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반(反)유대주의’를 근절하라고 압박해왔는데 하버드대가 이를 거부하자 하버드대에 대해 유학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인 ‘학생·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을 취소했다. 유학생들은 갑작스러운 조치에 당황해하고 있다. ◇ 외국인 학생 비자 못 받아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SNS에 “하버드대가 법을 준수하지 않음에 따라 SEVP 인증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캠퍼스 내에서 폭력과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한 것에 책임을 묻고 있다”고 말했다.SEVP 인증이 취소된 학교는 더 이상 외국인 학생을 유치할 수 없다. 기존 학생도 다른 학교로 전학하거나 미국 체류 자격을 상실한다. 현재 하버드대의 전체 학생은 약 2만4500명이며 이 가운데 외국인 학생은 27%가량인 약 6800명이다.미국 매사추세츠주 하버드대 학생들이 인문·자연과학대 등 주요 건물이 몰려 있는 '하버드 야드' 지역을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트럼프 행정부와 하버드대의 갈등은 2023년 10월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반격을 가한 데서 비롯됐다. 당시 미국 대학가에선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여론이 커졌다. 하버드대를 비롯한 주요 명문대는 반전 시위의 진원지로 꼽혔다. 이 때문에 하버드대를 지원하던 유대인 억만장자들이 기부금을 끊는 일도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 하버드대 총장이 조기 퇴진하기도 했다.유대계에 우호적인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하버드대 내 반유대주의와 DEI(다양성·포용성·형평성) 정책을 비난하며 하버드대를 압박해왔다. 하버드대 입학 정책, 교수진 채용 등에 대한 정부의 감사권까지 요구했다. 하지만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26억달러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또 지난달 16일엔 하버드에 서한을 보내 외국인 학생의 범죄와 폭력 행위 이력 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4월 30일까지 응하지 않으면 SEVP 인증을 종료하겠다고'대학 길들이기' 극단 조치트럼프 정부-하버드 갈등'反유대주의 근절' 요구 거부하자美 정부, 외국인 등록 인증 취소6800여명 전학 안가면 추방 위기반전 시위·DEI 정책이 '도화선'26억달러 연구자금 지원도 끊어안보장관, 타대학에도 적용 시사"美서 쫓겨나나"…유학생들 '패닉'미국 하버드대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학교를 옮기거나 최악의 경우 본국으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하버드대를 상대로 외국인 학생을 받지 못하도록 결정하면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반(反)유대주의’를 근절하라고 압박해왔는데 하버드대가 이를 거부하자 하버드대에 대해 유학생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인 ‘학생·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EVP) 인증’을 취소했다. 유학생들은 갑작스러운 조치에 당황해하고 있다. ◇ 외국인 학생 비자 못 받아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SNS에 “하버드대가 법을 준수하지 않음에 따라 SEVP 인증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가 캠퍼스 내에서 폭력과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고 중국 공산당과 협력한 것에 책임을 묻고 있다”고 말했다.SEVP 인증이 취소된 학교는 더 이상 외국인 학생을 유치할 수 없다. 기존 학생도 다른 학교로 전학하거나 미국 체류 자격을 상실한다. 현재 하버드대의 전체 학생은 약 2만4500명이며 이 가운데 외국인 학생은 27%가량인 약 6800명이다.미국 매사추세츠주 하버드대 학생들이 인문·자연과학대 등 주요 건물이 몰려 있는 '하버드 야드' 지역을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트럼프 행정부와 하버드대의 갈등은 2023년 10월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반격을 가한 데서 비롯됐다. 당시 미국 대학가에선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여론이 커졌다. 하버드대를 비롯한 주요 명문대는 반전 시위의 진원지로 꼽혔다. 이 때문에 하버드대를 지원하던 유대인 억만장자들이 기부금을 끊는 일도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 하버드대 총장이 조기 퇴진하기도 했다.유대계에 우호적인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하버드대 내 반유대주의와 DEI(다양성·포용성·형평성) 정책을 비난하며 하버드대를 압박해왔다. 하버드대 입학 정책, 교수진 채용 등에 대한 정부의 감사권까지 요구했다. 하지만 하버드대는 ‘학문의 자유’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26억달러에 달하는 연방정부의 연구자금 지원을 중단했다. 또 지난달 16일엔 하버드에 서한을 보내 외국인 학생의 범죄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