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라네즈가 북미 시장에서 선전하며 K-뷰티의 '신(新) 르네상스' 시대를 주도하고 있다. 풀커버 메이크업이 유행했던 2010년대 초반과 달리 속부터 건강한 '클린 뷰티'가 유행하면서 수분 전문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14일 미국 최대 뷰티 전문 리테일 매장인 세포라(Sephora)에서 라네즈의 '립 슬리핑 마스크'는 전체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렸다. 스킨케어 부문 베스트셀러에는 '립 글로우 라이트 하이드레이션 밤'도 포함됐다. '립 슬리핑 마스크'는 2023년과 지난해에도 세포라의 K-뷰티 부문에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라네즈의 '립 슬리핑 마스크'는 세포라뿐 아니라 미국 전체에서 1초에 하나씩 판매될 정도로 인기가 좋다. 립 스킨케어 제품과 더불어 토너와 모이스처라이저, 워터뱅크 블루 히알루론산 크림도 반응이 좋은 효자 제품이다. 지난해 8월 진행한 미국 뉴욕 세포라 매장에 '바슬마' 팝업스토어. [사진=아모레퍼시픽] K-뷰티가 처음 유행하던 2010년도 초반에는 결점을 가리는 풀 메이크업이 유행했다면, 최근에는 피부에 안전하고 환경에 해가 적은 '클린 뷰티'가 주목받으면서 라네즈가 K-뷰티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했다.보그 비즈니스는 지난해 발간한 잡지에서 "라네즈와 같은 브랜드가 틱톡 트렌드를 활용해 미국 세포라와 같은 경쟁 시장에서 입지를 유지하는 등 K-뷰티를 부활시켰다"면서 "립 슬리핑 마스크는 여전히 컬트적인 인기와 판매 강자"라고 언급했다.글로벌 리서치 업체인 NPD도 지난해 시장 보고서에서 "라네즈와 같은 브랜드가 미국 프레스티지 스킨케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사드 사태 이후 중화권이 아닌 북미 중심으로 글로벌 전략을 리밸런싱한 아모레퍼시픽의 '한 수'가 통한 셈이다.실제 지난해 아모레퍼시픽의 북미 지역 매출은 5246억원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는데, 이 중 라네즈의 기여도는 60%에 달한다. 라네즈에 힘입어 아모레퍼시픽은 1분기에도 북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0% 급증했는데, 라네즈의 브랜드 성장률은 20% 후반을 기록했다. 이에 기반해 북미 시장 매출이 처음으로 중화권 매출을 앞지르기도 했다.라네즈는 관계자는 "미국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모델 시드니 스위니 와 함께 한 소셜 컨텐츠가 일주일도 ▲ 경기도의회 전경. /인천일보DB 경기도의회가 15일부터 23일까지 임시회에 돌입한다. 이번 임시회에선 지난 회기때 보류된 도서관장 신설 안건 등 도정 현안이 논의될 예정이어서 통과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김진경 의장이 대표 발의한 의회 청렴도 향상 조례안도 눈길을 끈다.14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위원회는 16~17일 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 조례안 등을 심사할 예정이다.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은 경기도와 도의회에 3급 직제를 신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통과하면 기존 도시주택실 사무 중 일부를 분리한 도시개발국을 새롭게 만들어 진다. 올해 10월 개관 예정인 경기도서관 담당관도 생긴다.특히 의회사무처 의정국장직이 선설돼, 의회 기구의 중간관리체계가 강화될 전망됐다. 하지만 기재위는 의정국장, 도서관 담당관, 도시개발국장 등의 직제를 삭제한 수정안을 가결했다. 도서관장 내정자 문제 등이 논란이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3급 직제 신설은 의회 숙원이었기에, 비판이 거셌다. 결국 본회의에 해당 안건은 상정되지 못했다.이 때문에 이번 회기에서 통과가 될 지 관심사다. 현재 양당 대표는 해당 안건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다. 다만 기재위를 원안 통과해야만, 본회의에서 심의가 가능하기에 우선 상황을 지켜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김진경 의장이 낸 도의회 청렴도 향상 조례도 다뤄진다. 이 조례에 따라 매년 부패방지 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해야한다. 의회는 국민권익위원회 종합 청렴도 평가에 지난해 3등급을 받았다. 2023년에는 5등급이었다. 제정되면 의회 청렴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또 조성환 기획재정위원장과 양우식 운영위원장의 교체 문제도 불거질 전망이다. 3기 대표단과 현 민주당 대표단은 두 위원장을 1년씩 하기로 합의했었다. 그러나 교체 방식을 놓고 의견을 보이고 있다.두 위원장을 상호 교체하는 게 합의사항이었다는 게 국민의힘 설명이다. 국민의힘 전 대표단 관계자는 "상임위원장 임기는 2년이 보장된다. 재선출은 합의를 파기하는 것이다"며 "상호 교체 방법은 조례 통과가 유일하다"고 했다. 현재 국민의힘 전 김정호 대표는 양당이 합의하면 상임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