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약사들이 암·비만 다음 먹거리로 치매·파킨슨병 신약에 주목하고 있다. 핵심은 뇌-혈관장벽(BBB)을 투과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으로, 실제 여러 글로벌 제약사들은 해당 기술을 확보한 바이오기업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신약 개발에 나서고 있다. ◇로슈 ‘트론티네맙’, 임상서 치매 개선 효과 확인1일 신한투자증권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로슈는 지난 4월 국제 알츠하이머·파킨슨병 콘퍼런스에서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병 항체 신약 '트론티네맙'의 임상 1b/2a상 연구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당시 114명 대상으로 28주간 약물을 투여한 결과, 81%가 알츠하이머병 진단의 기준인 '센틸로이드' 수치가 24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는 일라이 릴리의 '키썬라(성분명 도나네맙)'를 24주간 투여한 환자의 데이터인 40% 대비 높은 수치다.대표적인 부작용인 'ARIA(아밀로이드 영상 이상)' 또한 키썬라 대비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ARIA-E(뇌에 MRI 스캔을 했을 때 뇌부종이 나타나는 현상) 발생률은 트론티네맙 0%, 키썬라 24%였으며, ARIA-H(뇌에 MRI 스캔을 했을 때 뇌출혈이 나타나는 현상)는 트론티네맙 2.6%, 키썬라 31.4%였다. 로슈는 오는 27~31일 열리는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콘퍼런스(AAIC 2025)에서 추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촘촘한 ‘혈액뇌장벽’ 통과할 수 있어트론티네맙이 임상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낸 이유는 약물이 '혈액뇌장벽(BBB)'을 통과할 수 있어서다. 혈액뇌장벽은 뇌세포를 둘러싸면서 뇌혈관을 통해 외부 물질이 뇌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저분자 의약품(경구제)도 진입하기 어려울 만큼 촘촘하다. 혈액뇌장벽을 통과하는 방안 중 하나로는 약물 용량을 늘리는 방법이 있으나, 부작용 우려가 있어 쉽지 않다.이에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은 용량을 늘리지 않더라도 약이 혈액뇌장벽을 통과해 뇌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중요하나, 그동안 개발된 의약품들은 분자가 큰 항체 의약품이기 때문에 혈액뇌장벽을 통과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트론티네맙 또한 간테네루맙이 임상에서 실패하자 자사의 혈액뇌장벽 투과 기술인 '브레인셔틀'을 붙여 다시 개발한 약이다.신한투자증권 엄민용 애널리스트는 "트론티네맙은 항체 치료제의 뇌 투과율과 유효성, 부작용 개선의 연 김해동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 2025년 6월, 대구의 여름은 예년보다 훨씬 빠르고 강하게 시작됐다. 올해 6월 평균 최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사실상 장마가 종료된 상황이다. '족집게 기상학자'로 불리는 김해동 계명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는 "우리가 알던 계절은 끝났고, 이제는 사회 시스템의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장마는 사라지고 폭우만 남았다"김해동 교수는 1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장마는 사실상 종료됐다. 전통적인 장마처럼 넓은 지역에 오래 비가 오는 형태가 아니라, 시작과 동시에 국지적인 폭우만 쏟고 끝났다"고 말했다.그는 "과거 장마는 초반에 가늘고 길게 내리는 비(음성형)가 주류였고, 후반에 집중호우(양성형)가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에는 시작부터 폭우가 집중되고 곧바로 끝난다"며 "이러한 변화는 올해만의 일이 아니다"고 설명했다.문제는 이런 폭우가 수자원 확보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좁은 지역에 쏟아지는 강한 비는 땅이 흡수하기 전에 그대로 흘러나간다. 강우 강도가 높을수록 지하수로 저장되지 못하고 외부로 유실돼 가뭄 완화 효과는 없다"고 강조했다.그는 "지난해 전북 군산은 장마 초기에 기록적인 폭우가 있었지만, 전국적으로는 오히려 가뭄이 더 악화됐다. 기상이변이 폭우와 가뭄을 동시에 유발하는 '이중 재난'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한국은 이미 아열대…제도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아열대 기후는 "월평균기온이 10℃ 이상인 달이 8개월 이상일 때'로 정의된다. 김 교수는 "현재 한국은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아열대 기온을 기록하고 있어, 기후학적으로는 전환기지만 실질적으로는 이미 아열대권에 있다"고 말했다.김해동 교수는 "예전 여름 더위는 불편한 더위였지만, 지금은 사람 목숨을 앗아가는 살인적인 더위다"며 "여름이니까 덥다는 식의 인식으로는 지금의 기후를 절대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다.그는 해양 생태계 변화 사례도 언급했다. "지난해 남해안 해수 온도가 30도까지 올랐다. 미역과 파래는 자라지 않고, 광어·우럭 같은 어종은 24도 이상이면 먹이를 줄이고, 26도 이상이면 질병에 쉽게 노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