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30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본문

30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30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한겨레와 만난 신홍주 조사관. 고경태 기자 “10년 넘은 사람들 많이 봤죠. 그 사람들을 평생 가둬야 할까요?”그의 마지막 메시지는 ‘정신병원 장기입원’에 대한 재환기였다. 일찍이 20년 전부터 이에 관해 문제제기를 해왔던 터다. 그럼에도 정년퇴임할 때까지 큰 변화가 없을 줄 몰랐다. “구금시설 수용자들은 그나마 법 절차를 거쳐 형을 확정받잖아요. 가출소·가석방도 있고요. 이분들은 언제 나갈지 기약도 없어요. 정말 이제는 우리 사회가 대안을 만들어야 합니다.”신홍주(59)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조사관은 우리나라에서 정신병원 인권침해 사건을 가장 많이 조사한 사람이다. 인권위 출범 이듬해인 2002년 4월 공개채용으로 들어와 23년간 2300여건의 진정사건을 처리했는데, 그중 절반이 정신병원 관련 사건이었다. 지난 3월 인권위가 의사 지시 없는 격리와 허위 진료기록 작성 등의 혐의를 확인하고 검찰총장에게 수사의뢰한 부천 더블유(W)진병원 환자 사망사건도 그가 조사했다. 차별시정국 장애차별조사2과에서 근무하다 정년퇴임을 앞두고 퇴직교육 연수를 떠나는 신 조사관을 지난 30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정신병원과 인권위에 대해 들을 이야기가 많았다.신 조사관은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지만, 목사가 되지는 않았다. ‘하나님은 교회가 아니라 생활현장에 계신다’는 철학이 그를 태백에 있는 광산으로 인도했다. 막장에서 1년6개월간 석탄을 캤다. 정부의 석탄합리화정책으로 광산이 문을 닫으면서, 성남외국인노동자의 집 등 이주노동자 단체에서 활동가로 일했다. 그러던 중 한겨레신문에서 우연히 인권위 직원 채용 광고를 봤다. 조사기획담당관실, 침해조사과, 광주지역사무소, 홍보협력과, 운영지원과, 인권상담센터를 두루 거치는 사이 20년 넘는 세월이 흘렀다. 인권위에 입사하고 이듬해인 2003년 동료들과 함께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는 국립정신병원을 방문했다. 맨 오른쪽이 신홍주 조사관. 신홍주 제공 2004년부터 접한 정신병원 사건은 경악 그 자체였다. 사설 감방에 갇힌 ‘올드보이’의 오달수를 연상케 하는 장기입원 환자들이 많았다. “20여년간 정신과 전문의 1명에서 2명의 진단으로 강제입원 요건이 좀 더 엄격하게 바뀌었죠. 또 국립정신병원에서 강제 (멕시코시티 로이터=뉴스1) 권영미 기자 = 자이언트 판다 신신이 2025년 6월 29일, 멕시코 멕시코시티의 차풀테펙 동물원에서 열린 35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종이로 만든 생일 케이크 옆에 서 있다. 신신은 세계 유일의 중국 소유가 아닌 자이언트 판다다. 또 신신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유일한 자이언트 판다기도 하다. 2025.06.29.ⓒ 로이터=뉴스1 30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