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한국 현대사 연표 82년부터 2011년까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HELLO 댓글 0건 조회 2회

본문

1980년 광주룸싸롱
1.17 김대중, 가택연금 해제. 1.28 김재규,김계원 박정희대통령 시해 사건으로 사형 선고(김계원은 무기로 감형) 2.27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 전환. 2.29 재야인사 678명 사면복권. 3.1 김대중, 복권. 휴교령 해제, 전국 대학 개강. 전두환, 중장 진급. 3.20 조용필 1집 ‘창 밖의 여자’ 발매4.7 김대중,김영삼 신민당과 재야 통합협상 결렬(김대중 신민당 입당포기선언). 4.14 전두환 보안사령관 겸 계엄사합동수사본부장, 중앙정보부장 서리 겸직. 4.22 사북탄광 광원노동자 2천여명, 사북읍내 거리시위. 4.24 서울 14개 대학, 교수 361명, 학원민주화를 요구하는 성명서 발표. 5.2 서울대생 1만여명, 비상학생총회. 신군부와 유신잔당 대표자 전두환,신현확 허수아비 화형식. 5.13 연세대등 서울시내 6개 대학생 2500명, 세종로일대 야간 가두시위. 고려대등 서울시내 7개 대학 철야농성 돌 5.15 서울시내 30개 대학 대학생 10만명 서울역 집회, 비상계엄 철폐 요구(서울역 회군). 5.16 전국 55개 대학 학생대표 95명, 이화여대에서 제1회 전국대학총학생회장단 회의. 국방부, 군단장급 이상 전군주요지휘관 회의. 5.17 국무회의, 비상계엄 전국확대 의결. 김대중, 문익환등 주요재야인사 체포. 전국 대학 휴교령. 비상계엄 전국 확대 발표. 5.18 계엄사 명의 포고령 10호에 의거 정치활동 전면 중단, 집회 및 시위 금지. 제33사단 병력, 국회 점령. 전남대와 조선대에 특전사 7공수여단 투입. 학생, 시민 대규모 시위로 발전. 11공수여단 추가 투입. 5.20 광주역 부근에서 3공수여단, 시위대에 소총 사격. 광주민주항쟁 최초의 집단발포로 사상자 발생. 5.21 시민군 본격 무장 시작. 금남로에 시민 10만 운집. 11공수여단 집단발포. 시민군, 광주시내 공공건물과 시내 일원 장악. 5.22 계엄군, 시내에서 철수하고 외곽포위망 구축. 5.24 김재규 사형 집행. 5.25 계엄사, 광주재진입 작전계획 충정작전 작성. 5.26 시민군, 전남도청에서 내외신 기자회견. 5.27 제3,7,11공수여단, 전남도청 투입(광주민주항쟁 진압 종료). 5.28 전국주요도시 군경합동 일제검문검색 실시. 5.31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발족(의장 최규하, 상임위원장 전두환) 6.18 계엄사령부, 권력형 부정축재자 수사 발표(김종필,이후락,박종규,오원철 등 9명) 6.25 김종필 공화당 총재, 모든 공직에서 사퇴. 7.3 김종필,이후락,김진만,박종규,예춘호 등 의원직 사퇴. 7.4 계엄사,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발표. 7.28 세종문화회관에서 미스유니버스대회 개최. 7.30 국보위, 대학입시제도 개혁안(대학입시 본고사 폐지, 졸업정원제 실시), 교육정상화 및 과열과외 해소방안 발표 8.4 계엄포고 제13호 불량배 일제 검거(삼청교육). 8.13 김영삼 정계은퇴(가택연금) 8.16 최규하 사임. 8.22 전두환 대장 전역. 8.27 통일주체국민회의,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을 제11대 대통령 선출. 8.28 계엄사령부, 전국 대학 휴교령 해제. 9.1 전두환, 제11대 대통령 취임. 9.17 계엄고등군법회의, 김대중 사형 선고. 9.29 제8차 헌법개정안 발의,공고. 10.22 제8차 개헌안, 국민투표 통과(투표율 95.5%, 찬성 91.6%). 10.27 제8차 개헌(대통령 7년 단임, 간선제) 무장계엄군, 전국 사찰 투입(10.27 법난) 10.31 지하철 2호선 신설동~종합운동장 구간 준공. 11.3 계엄고등군법회의 항소심, 김대중 사형선고. 11.8 제4회 대학가요제. 금상 ‘꿈의 대화’(이범용,한명훈), 은상 ‘연극이 끝나고 난 뒤’(샤프) ‘해야’(마그마). 11.12 정치풍토 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 3김을 포함한 정치인 811명 정치활동 금지. 11.14 신군부, 건전언론 육성과 창달을 위한 결의문. 언론기관 통폐합. 11.27 영화 ‘바람불어 좋은 날’ 개봉. 11.30 KOC, IOC에 올림픽 유치신청서 제출. 12.1 컬러 TV 시험방송 실시(수출의 날 기념식 중계방송). 조용필 2집 ‘촛불’ 발매(사랑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네, 간양록 등 수록) 12.19 연합통신 창립. 원자력연구소와 한국핵연료개발공단, 에너지 연구소로 통폐합. 12.26 언론기본법, 노동관계법 개정. 12.30 반공법 폐지, 국가보안법에 흡수. 12.31 중앙정보부, 국가안전기획부로 개편.
1981년
1.1 조용필 3집 고추잠자리 발매 (물망초, 미워미워미워, 일편단심 민들레 등 수록) 전영록 1집 애원 발매 (애심, 그대여 등 수록) 1.15 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1.17 민주한국당 창당(총재 유치송) 1.23 한국국민당 창당(총재 김종철) 대법원 김대중 사형 확정. 1.28 전두환 방미 (~2.7) 2.2 전두환, 레이건 회담. 2.10 ‘가요톱 10’ 첫 방송. 2.25 대통령선거인단, 제12대 대통령선거-전두환 당선(득표율 90.2%). 3.3 전두환, 제12대 대통령 취임. 3.25 제11대 국회의원 선거(민정당 151석, 민한당 81석, 국민당 25석, 무소속 11석) 3.31 국보위 입법회의 폐회. 5.25 7년 5개월만에 아침방송 재개. 어린이 오락프로 ‘뽀뽀뽀’ 첫 방영. 5.28 국풍 81 개막 (~6.1) 8.1 여권법 시행규칙 개정(해외여행 자유화 조치) 산울림 7집 가지마오 발매 (청춘, 독백, 하얀 밤 등 수록) 8.7 영화 ‘어둠의 자식들’ 개봉. 8.21 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9.1 서울시 지하철공사 발족. 9.12 영화 ‘만다라’ 개봉. 9.19 신안앞바다 해저유물 2500여점 인양. 9.30 제84차 IOC 총회(서독 바덴바덴)에서 88 서울올림픽 개최 결정. 11.6 안기부, 교포간첩단 검거 발표. 11.30 이윤상 유괴사건 범인 주영형 검거. 12.5 제5회 대학가요제. 나의 꿈 ‘기타 하나 동전 한잎’ 은상 수상.
1982년
1.1 중고생 교복 및 두발 자율화 조치. 1.5 야간통행금지 해제(전방 접경 및 후방 해안 제외) 1.23 한국 여자 탁구 단체팀 서독오픈탁구대회 우승. 3.3 김대중, 징역 20년으로 감형. 3.18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3.20 체육부 신설(장관 노태우, 차관 이영호) 3.27 한국 프로야구 개막전. 서울운동장(삼성-MBC) 4.1 부산 미국문화원사건 문부식, 김은숙 검거. 4.15 부산 미국문화원사건 김현장 검거. 4.26 의령, 우순경 총기난동사건. 5.7 대검중앙수사부, 장영자 이철희 구속. 6.12 오백원권 주화 발행. 6.28 금리인하조치. 7.3 (83년 7월 1일부터) 금융실명제 실시 발표 8.28 독립기념관건립준비위원회 발족. 9.4 한국, 제27회 세계야구선수권대회 우승. 영화 ‘산딸기’ 개봉. 9.24 서울국제무역박람회 개막. 9.28 한강종합개발사업 착공. 10.12 OB베어스, 한국시리즈 원년 우승. 11.10 브레즈네프 타계. 12.16 김대중, 청주교도소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 12.23 지하철 2호선, 종합운동장~교대 구간 준공. 김대중 형집행정지로 석방 후 미국행.
1983년
1.11 나카소네 일본 총리 방한, 정상회담(일본총리 첫 공식 방한) 2.25 정치인 및 사회인사 250명, 정치활동 금지 해제. 4.15 대도 조세형, 탈주 (5일 만인 4.19 체포) 5.18 김영삼, 단식 시작 (6,9까지 23일간 단식투쟁). 5.30 함석헌 등 재야인사 기독교회관에서 단식기도회 돌입. 6.10 송골매 3집 ‘처음 광주룸싸롱 본 순간’ 발매 (한줄기 빛, 빗물 등 수록) 6.12 한국 20세이하 청소년대표팀, 멕시코청소년축구대회 4강진출. 6.25 조용필 5집 ‘친구여’ 발매(나는 너 좋아, 황진이 등 수록) 6.30 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8.6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만남의 광장 개설(여의도) 8.15 김대중,김영삼 8,15 공동선언 발표. 8.17 명성그룹 김철호회장, 탈세 및 업무상 횡령혐의로 구속. 8.31 대한항공 747여객기, 소련 사할린 상공에서 소련전투기 미사일피격으로 추락, 탑승자 269명 전원 사망. 9.16 서울지하철 2호선 을지로~성수역 구간 개통. 9.22 대구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10.5 바웬사,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 10.8 전두환, 버마등 서남아,대양주 6개국 순방 출국. 10.9 버마 아웅산묘역 폭탄테러사건, 서석준 부총리 등 17명 사망. 11.11 로널드 레이건 미국대통령 방한.
1984년
4.3 가족오락관 첫 방영. 4.18 민중문화운동협의회 발족. 4.23 부산 태화고무 직장폐쇄 항의농성. 5.1 과천 서울대공원 개원. 청계피복노조 합법성 쟁취 공개토론회. 5.6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 5.18 민추협 출범. 공동의장 김영삼, 고문 김대중, 공동의장 대행 김상현. 5.22 서울 지하철 2호선 전 구간 개통. 7.5 황석영, 한국일보에 1974년 7월 11일부터 연재한 ‘장길산’ 연재 종료. 7.28 LA올림픽 개막. 8.17 학원안정법 추진 전면 보류. 8.31 태풍 ‘준’, 집중호우로 한강대홍수 발생. 사망 189명, 실종 150명. 9.2 함평, 무안 농민대회. 9.6 전두환 방일. 일본천황 히로히토, 과거사 유감 표명. 9.15 마술사 유리 겔라 방한. 9.29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개장. 북한 적십자사, 판문점 통해 수재구호물품 전달. 영화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개봉 (배창호 감독, 유지인 이미숙 한진희 안성기 출연) 10.14 부산 대아호텔 화재. 11.3 학생의 날 기념식 및 군사독재퇴진 궐기대회(연세대) 11.14 대학생 264명, 안국동 민정당사 점거 농성. 11.20 전국학생총연맹 결성(고려대) 12.20 신한민주당 찰당발기인대회(창당준비위원장 이민우) 12.29 홍사덕,서석재,박관용,김한수 등 전현직 의원 13명 민한당 탈당 1985년
1.18 신한민주당 창당(서울 엠버서더호텔). 총재 이민우, 부총재 김녹영,이기택,조연하,김수한,노승환. 구정, ‘민속의 날’로 개칭. 1.25 이선희 1집 ‘아! 옛날이여’ 발매 (갈등, 소녀의 기도, 나는 사랑에 빠졌어요, J에게 등 수록) 2.8 김대중, 귀국과 동시에 가택연금. 2.12 제12대 총선. 민주정의당 148석, 신한민주당 67석, 민주한국당 35석, 한국민주당 20석. 2.21 국제그룹 정상화 대책 발표(한일합섬,극동건설,동국제강으로 그룹 해체) 3.29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결성. 4.17 전국학생총연합(전학련) 결성. 의장 김민석. 5.23 서울대 함운경 등 대학생 73명,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 5.27 서울대 프락치사건으로 구속된 유시민, 서울지법에 항소이유서 제출. 5.29 스포츠서울 창간. 5.30 신민당 의원 103명, 광주사태 진상조사를 위한 국상조사 발의안 제출. 6.24 구로동맹파업 시작. 8.15 홍기일, 금남로 전남도청 앞에서 분신자살. 9.7 김근태, 국가보안법 및 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구속. 9.9 안기부, 구미유학생 학원침투간첩단 검거 발표. 9.21 남북 고향방문단 서울과 평양 방문, 이산가족 상봉. 9.30 63빌딩 준공(지하 3층, 지상 60층) 10.8 남북체육회담 개최. 10.9 올림픽대교 착공. 10.12 서울대 의대 장윤석 교수팀, 한국 최초 시험관 아기 성공. 10.16 안기부장 장세동, 특보 박철언, 연구실장 강재섭 등 평양 방문. 10.18 서울 지하철 3,4호선 동시 개통. 10.29 민추위(민주화추진위원회) 사건. 11.3 월드컵 대표팀, 멕시코월드컵 본선 진출 확정. 12.29 김근태, 법정에서 고문 사실 폭로.
1986년
2.8 영화 ‘뽕’ 개봉 (이두용 감독, 이미숙 이대근 출연) 2.12 신민당, 직선제 개헌을 위한 1천만 서명운동 시작. 2.24 3당대표 청와대 회동, 호헌 고수 의지 표명. 3.9 김수환추기경, 정의와 평화를 갈구하는 9일기도 마무리 미사에서 직선제개헌 촉구. 3.11 신민당, 개헌추진위원회 서울지부 결성대회. 3.13 최은희, 신상옥 부부.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대사관으로 탈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천만 개헌 서명운동 동참. 민주헌법쟁취 범여성추진위원회 결성. 4.28 서울대생 김세진, 이재호. 전방입소 결사반대 분신 자살. 5.26 최성수 1집 ‘남남’ 발매. ‘애수’ ‘풀잎사랑’ 등 수록. 6.2 김완선 1집 ‘오늘밤’ 발매. 6.2 한국축구, 멕시코월드컵 아르헨티나와 조별예선(32년만의 본선진출). 박창선 월드컵 사상 첫 골. 6.6 부천서 성고문사건 발생(변호인 접견과정에서 폭로). 6.10 한국월드컵대표팀, 이탈리아와 조별예선 3차전. 2대3으로 패해 예선 탈락(최순호,허정무 득점) 6.26 장덕 1집 ‘님 떠난 후’ 발매. 7.3 권인숙, 강제추행 혐의로 인천지검에 문귀동 고소. 7.4 문귀동, 명예훼손 혐의로 인천지검에 권인숙 고소. 8.14 서진룸싸롱 사건. 9.1 권인숙양 변호를 위한 199명의 변호인단 결성. 9.20 서울아시안게임 개막. 10.3 부활 1집 ‘희야’ 발표. ‘비와 당신의 이야기’ ‘인형의 부활’ 등 수록. 10.5 서울아시안게임 폐막. 한국 금메달 93개로 중국(94개)에 이어 종합 2위. 10.30 평화의 댐 건설 발표. 11.5 민추협 공동의장 김대중, 대선 불출마 선언. 11.16 조선일보, 김일성 피격사망설 호외 해프닝. 12.24 이민우 신민당 총재, 내각제 조건부 수용 파동.

1987년
1.14 박종철,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고문치사. 1.15 중앙일보, 박종철 사건 최초보도. 김만철일가 11명, 북한 청진항 탈출. 1.19 경찰, 물고문 공식 시인. 조한경, 강진규 특정범죄가중처벌법 위반 (고문치사) 혐의로 구속. 1.27 ‘말’지 특집호에서 보도지침 폭로. 김주언 한국일보기자, 김태홍 민언협 사무국장 구속 (보도지침 사건) 2.7 박종철군 추도식 및 추도집회. 김종호 내무부장관, 강민창 치안본부장 사퇴. 2.8 김만철일가 서울 도착. 2.12 국내 첫 에이즈환자 사망. 3.21 영화 ‘씨받이’ 개봉 (임권택 감독, 강수연 이구순 출연) 4.8 양김, 통일민주당 창당 선언. 4.13 전두환 특별성명, 4.13호헌 조치. 4.24 괴한 70여명, 통일민주당 관악지구당 창당방해 (용팔이사건) 5.1 신민당 탈당의원 66명, 통일민주당 창당. 총재 김영삼. 5.10 썸머타임 실시. 5.18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김승훈 신부,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축소, 은폐 사실 폭로. 6.9 연세대 이한열, 시위 중 최루탄 피격으로 의식불명. 6.10 민정당 전당대회, 노태우 대표 차기 대선후보 선출(잠실체육관) 전국 22개 도시에서 박종철 고문살인 및 호헌철폐 규탄 시민대회. 6.14 전두환, 안보관계장관 및 군,치안 책임자 회의 소집. 전국적 시위 해산을 위한 군출동 준비 광주룸싸롱 지시. 6.18 전국 최루탄 추방대회. 청와대 안가 심야대책회의. 전두환, 부산지역 위수령발동을 전제로한 총 출동준비 점검 지시. 6.19 릴리 주한미국대사 청와대 방문, 전두환 면담. 군출동계획 취소. 6.24 청와대에서 전두환, 김영삼 여야 영수회담. 6.25 김대중 가택연금 해제. 6.26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평화대행진. 6월항쟁의 절정을 이룸. 6.29 노태우, 관훈동 민정당사에서 6.29선언 발표 (직선제 개헌 및 김대중 사면,복권 수용) 7.9 이한열 영결식. 8.15 독립기념관 개관. 조하문 1집 ‘이 밤을 다시 한 번’ 발매 (눈 오는 밤, 해야, 같은 하늘 아래, 사랑하는 우리, 슬픈 이별 등 수록) 8.19 전대협 결성. 8.29 대전 오대양주식회사 사장 박순자와 32명, 용인공장에서 집단변사 (오대양사건) 9.9 강수연, ‘씨받이’로 제44회 베니스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11.12 김대중, 평화민주당 창당. 11.29 바그다드발 서울행 대한항공 858 여객기, 미얀마 상공에서 폭발, 승객 전원 사망. 12.16 제13대 대선, 노태우 당선 (노태우 828만표, 김영삼 633만표, 김대중 611만표, 김종필 182만표)
1988년
1.15 하치타 마유미(김현희) 기자회견. 동물원 1집 ‘거리에서’ 발매 (말하지 못한 내 사랑, 변해가네 등 수록) 2.13 제15회 캘거리 동계올림픽 개막. 2.17 세종기지 준공식. 2.23 국가원로자문회의법 야당 반대속에 국회 통과(민정당 단독 처리). 2.25 노태우 제13대 대통령 취임(제 6공화국) 3.31 새마을 운동본부 비리사건으로 전경환 구속. 서울구치소 송치. 납,월북 작가 정지용, 김기림 작품 국내 출판 허용. 4.13 전두환 연희동 기자회견,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직과 민정당 명예총재직 등 모든 공직 사퇴. 4.26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민정당 125석, 평민당 70석, 민주당 59석, 공화당 35석)-최초의 여소야대 국회. 5.15 한겨레신문 창간호 발행. 서울대생 조성만, 명동성당에서 양심수 전원석방, 미국 축출, 올림픽 공동개최 등을 요구하며 할복 투신 자살. 6.15 사법부 서명파동. 변진섭 1집 ‘홀로 된다는 것’ 발매 (너무 늦었잖아요, 사랑할 수 밖에 없는 그대, 그대에게 등 수록) 6.20 김용철 대법원장 사임. 6.27 국회,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특별위원회’ 및 ‘제5공화국에 있어서의 정치권력형 비리조사특별위원회’ 6.28 부산일보, 언론노조 최초 파업 돌입. 7.2 국회, 정기승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부결. 7.7 노태우,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선언(7.7선언). 7.29 홍명희, 이기영, 한설야 등 5명을 제외한 납,월북 작가 해방전 작품 해금조치. 8.4 MBC 뉴스데스크, 도청장치 방송사고. 8.6 중앙경제신문 오홍근 기자 테러사건. 8.10 울진 원전 1호기 준공. 8.14 문성길, WBA 밴텀급 세계챔피언 타이틀 획득. 8.18 광주전남지역 재야단체 108명, 광주학살 진상촉구 연좌농성(국회) 8.20 이상은, ‘담다디’로 MBC 강변가요제 대상. 8.25 MBC노조, 방송사상 첫 파업. 9.3 올림픽선수촌 개촌. 9.14 영화인협회 감독위원회, UIP 저지투쟁 선언 및 철야농성 돌입. 9.17 제24회 서울올림픽 개막. 9.24 UIP 직배 영화’위험한 정사’ 코리아, 신영극장 등 전국 9개 극장에서 개봉. 통일민주당 창당방해사건으로 수배중이던 김용남(일명 용팔이) 검거. 영화 ‘다이하드’ 개봉. 9.29 여자핸드볼, 올림픽 구기 종목 사상 첫 금메달. 10.2 제24회 서울올림픽 폐막. 한국 금12, 은 10, 동 11개로 소련,동독,미국에 이어 종합 4위. 10.5 국회, 17년만에 국정감사 부활. 10.8 지강헌 등 미결수 12명 호송도중 일죽인터체인지에서 탈주. 10.16 지강헌 등 탈옥수 일당, 서울 북가좌동에서 ‘무전유죄 유전무죄’ 주장 끝에 사살됨. 11.3 국회 ‘5공특위’ ‘광주특위’ 청문회 시작. 11.12 전경환 구속, 노량진 수산시장 강제양도관련. 11.23 전두환, ‘국민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사과 성명) 발표후 백담사 행. 11.26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언노련) 창립, 초대위원장 권영길. 노태우 특별담화, 전두환 전대통령 사면 및 5공비리 조사활동 연내 매듭, 시국사범 석방등 민주화 6개항 발표 . 12.13 검찰 5공비리 특별수사부 설치. 12.27 장세동 구속.
1989년
1.10 아시아나 항공 첫 취항. 1.21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결성. 정주영 북한 방문. 1.24 삼김, 여당총재회담에서 정호용 사법처리 강력 요구. 문교부 중앙교육심의회, 방학중 대학생 과외 및 중고생 학원 수강 허용 결정. 2.2 정주영 귀국 기자회견에서 금강산 공동개발 조속 실현 및 남북교류 구체안 제시. 2.4 함석헌 사망. 3.7 시인 기형도 사망. 3.8 KBS ‘광주는 말한다’ 방영. 시청률 70% 기록. 3.20 노태우, 중간평가 유보 발표. 황석영 북한 도착. 3.25 문익환 북한 방문. 3.31 종합주가지수 1000포인트 돌파. 4.3 공안합동수사본부 설치(안기부,검찰,경찰,보안사 합동) 4.13 문익환 귀국과 동시에 구속. 4.14 한겨레신문 이영희 논설고문 구속.&nbsp5.3 동의대 사건(학생들이 점거중이던 도서관에 화재 발생, 진압경찰 7명 사망) 5.6 문교부장관 정원식 전국 35개 대학 총,학장 소집. 5.6조치 발표. 5.10 조선대 교지편집위원장 이철규 변사체 발견(광주) 5.26 노동해방문학 발행인 김사인, 편집장 임규찬 국가보안법 위반 구속. 5.28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창립. 6.4 중국, 천안문사건 발생. 6.27 평민당 의원 서경원, 국가보안법 위반(밀입북)으로 구속. 6.30전대협, 한양대에서 평양축전 참가 출정식. 경찰 7500명 학내 진입 강제 해산 및 학생 2000명 연행. 7.1 제13차 청년학생축전 평양 개최 (외국어대 불어과 임수경 전대협을 대표해 참석)&nbsp7.26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신부 문규현 방북. 8.3 평민당 김대중 총재, 서경원의원 밀입북 사건으로 안기부 구인, 중부경찰서에서 심야수사. 8.13 배용균 감독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제42회 로카르노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수상. 8.15 중앙대 안성캠퍼스 총학생회장 이내창 변사체 발견(전남 여천 거문도) 문규현 임수경 판문점 통해 귀국. 8.28 재무부, 재벌의 비업무용 부동산 소유 억제 정책 발표. 국민대생 김정환 양심선언(학원프락치사건) 9.7 UIP 영화 직배 반대 시네하우스 방화 및 뱀 투입 혐의로 영화감독 정지영 구속. 9.17 서울평화상 제정. 10.1 노래를 찾는 사람들 2집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발매 (광야에서, 사계, 마른잎 다시 살아나, 그날이 오면 등 수록) 10.7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한국 방문. 10.15 이승환 1집 ‘텅빈 마음’ 발매 (기다린 날도 지워진 날도, 눈물로 시를 써도 등 수록) 11.1 해태타이거즈, 빙그레이글스 꺾고 한국시리즈 우승. 한국 폴란드 수교. 11.4 조선대에서 이철규 민주국민장. 시민, 학생 1만여명 참석. 11.9 베를린장벽 붕괴. 광주룸싸롱 12.15 노태우,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4당대표 청와대 영수회담. 12.31 전두환 국회 출석, 5공특위 청문회에서 증언.
1990년
2.4 가수 장덕, 수면제 과다복용으로 자택에서 사망. 1.22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 3당합당 발표. 2.9 민주자유당 창당. 3.2 KBS 이사회, 서영훈 사장 사표 수리. 3.6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KBS 공동주최 방송자주권쟁휘 결의대회. 3.31 프로야구 쌍방울 레이더스 창단. ) 4.12 경찰 KBS 투입, KBS사원 171명 연행. 서기원 사장 취임. 4.30 경찰 KBS 투입, KBS사원 333명 연행. 5.15 대검 중수부,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감사원 감사관 이문옥 구속. 5.18 KBS 사원, 제작거부 38말일만에 방송정상화. 6.5 한,소 정상회담(샌프란시스코) 6.9 영화 ‘장군의 아들’ 개봉 (임권택 감독. 박상민 신현준 이일재 출연) 7.12 MBC 노조, 방송제작 거부 돌입. 7.16 MBC, KBS, CBS, PBS 방송제작 복귀. 8.29 문화일보 창간 등록. 9.9한강대홍수 (~9.12) 9.30 소련과 수교. 85년만에 한소 국교 정상화. 10.3 독일 통일. 10.4 보안사 탈영 윤석양 이병, 보안사 민간인 사찰기록 폭로 및 양심선언 기자회견. 10.13 보안사 불법사찰 규탄과 군정청산 국민대회(보라매공원) 노태우, 범죄와 폭력에 대한 전쟁 선포. 10.25 중앙일보, 김영삼이 내각제에 합의한 각서 사본 공개. 11.1 가수 김현식 사망. 11.14 서울방송 설립.
1991년
1.30 김부남 사건. 2.14 정태수 구속. 2.18 박세직 서울시장 퇴임. 2.19 노태우, 대국민사과. 이형호군 유괴사건 발생. 2.26 걸프전 발발. 3.20 SBS 라디오 개국. 3.21 구미공단 두산전자, 낙동강 페놀 사건. 3.26 개구리소년 실종사건 발생(대구) 기초의회의원선거 (민자 1975, 평민 734, 무소속 1321) 4.9 평민당, 신민주연합당과 통합 신민주연합당 출범. 4.22 제2차 페놀오염 파동. 4.29 남북단일팀, 세계탁구선수권 여자단체 우승. 4.26 명지대생 강경대 시위도중 진압경찰 폭행으로 사망. 4.29 전남대 박승희, 강경대 치사사건 규탄과 공안통치 분쇄를 위한 범국민대회 중 분신(사망). 5.1 안동대 김영균 분신(사망). 5.3 경원대 천세용 분신(사망). 5.5 김지하, 분신자살 비판. 5.8 전민련 사회부장 김기설 서강대 옥상에서 분신(사망). 서강대 총장 박홍, 분신선동세력 발언. 검찰, 전민련 총무부장 강기훈 압수수색. 5.18 연대앞 고 강경대열사 장례식에서 이정순 분신, 사망. 5.24 노재붕 국무총리 사퇴. 후임 정원식. 5.25 공안통치 노태우정권 퇴진 제3차 국민대회, 성균관대 김귀정 시위도중 질식사. 6.3 외국어대에서 정원식총리 밀가루, 날계란 폭력사건. 6.20 광역의회선거 (민자당 564석, 신민당 165석, 무소속 115석) 6.23 청소년축구 남북단일팀 제6회 청소년축구대회 8강 진출. 6.24 강기훈 구속. 9.7 KBS홀 개관. 9.10 통합민주당 출범(공동대표 김대중, 이기택) 9.17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의안 제출. 10.7 MBC 30주년 창사특집 ‘여명의 눈동자’ 1회 방영(36부작). 10.19 여의도광장 살인폭주사건. 12.9 SBS 방송 개시. 12.13 제5차 남북고위급회담. 납북합의서 채택(연형묵,정원식) 12.26 소비에트 연방 붕괴. 12.31 남북한, 비핵화공동선언 합의.
1992년
1.7 정주영, 통일국민당 창당기자회견에서 정치자금 폭로. 2.8 정주영, 통일국민당 창당. 3.19 초대 영부인 프란체스카 여사 별세. 3.22 육군 9사단 소대장 이지문중위, 군부재자투표 국군기무사 개입 선거부정 폭로. 3.23 서태지와 아이들 1집 ‘난 알아요’ 발매 (환상속의 그대, 이 밤이 깊어가지만 등 수록) 3.24 제14대 총선 (민자 149석, 민주 97석, 국민 31석, 무소속 21석, 신정 1석) 국민당 정주영(전국구), 정몽준, 이주일, 김동길 당선(지역구). 민자당 이명박 전국구 당선. 3.28 김영삼, 민자당 대통령후보경선 출마 선언. 4.21 현대상선 정몽헌 부회장, 비자금 조성 및 탈세 혐의로 구속. 5.15 국민당, 정주영 대선후보 선출. 5.19 민자당 전당대회, 김영삼 대선후보 선출(이종찬 경선 거부). 5.26 평민당 전당대회, 김대중 대선후보 선출. 7.19 김달현 북한부총리 서울 방문. 7.25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개막. 8.9 황영조,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 바르셀로나 올리픽 폐막. 한국 금 12, 은 5, 동 12개로 종합 7위. 8.14 정몽헌, 집행유예로 석방. 8.20 제2이동통신사업자 발표(선경그룹) 8.24 한중수교. 8.27 선경그룹, 제2이동통신사업권 반납 발표. 8.28 민자당 중앙상무위원회, 김영삼 총재 선출. 9.23 대만, 한국과 외교관계 단절, 대사관 완전 철수. 9.27 노태우 중국방문. 10.4 원주 여호와증인 왕국회관 방화사건. 영화 ‘하얀 전쟁’ 도교영화제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수상. 10.5 노태우, 민자당 탈당. 10.23 안기부장 이현우, 리선실 간첩사건 내사 발언. 10.28 다미선교회 휴거소동. 10.29 연세대 마광수 교수, 소설 ‘즐거운 사라’ 음란물 제작 및 배포 혐의로 구속. 12.11 초원복집 사건(부산지역 기관장 선거대책모임 파문) 12.18 제14대 대선 (김영삼 997만표, 김대중 804만표, 정주영 388만표, 박찬종 151만표) 12.19 김대중, 마포 민주당사에서 정계은퇴 발표. 12.24 노태우, 성탄절 특별사면복권 (5공비리관련자 전원 포함)
1993년
1.7 청주 우암상가아파트 붕괴 사건. 1.20 미국, 클린턴 대통령 취임. 2.25 김영삼, 제14대 대통령 취임. 2.27 김영삼, 재산공개. 3.4 김영삼, 정치자금 수수 거부선언. 3.8 군인사-육참총장 김동진, 기무사령관 김도윤. 3.12 북한, NPT 탈퇴선언. 3.19 장기수 이인모 노인 송환. 3.28 부산 구포역 열차 탈선 전복 사고. 4.23 동화은행회장 안영모 구속. 4.27 김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구속. 4.30 정용후 전 공군참모총장 구속. 5.3 율곡사업 특감 착수. 5.4 슬롯머신 사건 정덕진 구속. 5.20 공직자 윤리법 제정-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추진. 엄삼탁 구속. 5.22 박철언 구속. 5.28 이건개 구속. 6.4 영화‘남자 위의 여자’촬영중 한강헬기추락사고-영화배우 변영훈 사망. 7.17 율곡사업 비리관련 이종구, 이상훈 전 국방장관 구속. 7.26 아시아나항공 보잉737 여객기 목포공항착륙 직전 해남군 야산에 추락. 7.30 PKO 파병. 8.7 대전엑스포 개막 (~11.7) 8.9 태풍 ‘로빈’으로 강원도 동해안 하천이 범람 -동해,삼척 피해 증폭. 8.12 금융 실명제 실시. 8.20 1994학년도 제1차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 9.3 약사법 개정 관련, 한의사, 약사 분쟁. 9.7 제2차 공직자 재산공개 단행-국회, 행정부,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급 이상 고위공직자와 국영 근 임원 등 1,166명의 재산 공개. 9.23 새 대법원장에 윤관 대법관 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지명. 9.26 우리별 광주룸싸롱 2호 위성,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우주기지서 발사 성공 10.10 위도, 서해훼리호 침몰 -292명 사망. 11.4 성철종정 열반. 11.7 대전엑스포 폐막. 12.9 김영삼, 쌀개방 관련 담화 -쌀시장 개방 발표. 12.16 신임국무총리에 이회창 임명.
1994년
1/18 문익환 목사 영면. 2/1 우루과이라운드 재협상 촉구 전국농민대회. 2/18 탁명환 국제종교문제연구소장 피살. 3/29 조계종 분규 사태. 4/22 이회창총리, 전격 사임. 4/30 여만철일가 월남. 5/19 박한상사건. 6/15 카터 미국 전대통령 방북. 6/18 한반도 핵위기 해소. 6/17 제15회 FIFA 월드컵 개막 (7/17 폐막) 7/8 김일성 사망. 남북정상회담 무산. 7/11 이부영, 김일성조문론 파문. 7/18 서강대총장 박홍, 주사파 발언. 8/29 삼성전자, 세계 최초 259메가 D램 개발. 9/10 참여연대(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 출범. 9/21 지존파 검거. 9/27 온보현 사건. 10/8 박경리, ‘토지’ 완간. 10/9 황영조, 히로시마아시안게임 마라톤 금메달. 10/21 성수대교 붕괴, 32명 사망. 북미, 제네바 핵협상 타결 -북한의 핵시설 동결과 핵확산금지조약(NPT) 완전이행 및 미국의 북한경수로 지원 10/24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고. 10/29 검찰, 12.12사건 수사 발표 -전두환, 노태우 등 관련자 34명 전원 기소유예. (정승화 전 육군참모총장 등 검찰 기소유예에 반발, 헌법소원) 12/3 정부 조직개편안 발표. 12/7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삼성그룹 자동차사업 진출 허용. 12/16 WTO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 12/26 온라인 게임개발회사 ‘넥슨’ 설립.


1995년
1/9 SBS ‘모래시계’ 첫 방영. 2/9 김종필, 민자당 탈당. 2/15 한국, 일본, 러시아 해저 광케이블 개통. 3/1 광주불교방송 개국-케이블TV 본방 개시. 3/30 자유민주연합(자민련) 창당. KEDO 발족. 6/18 소설가 김동리 타계. 6/21 쌀 15만톤 대북지원 합의. 6/25 쌀 북송선 출항. 6/27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6/29 삼풍백화점 붕괴-501명 사망. 7/18 김대중, 정계 복귀 선언. 7/22 태풍 ‘페이’, 남해권 강타. 씨프린스호 좌초. 7/24 태풍 ‘제니스’ 상륙, 157명 사망, 실종. 8/4 정보화촉진기본법 공포. 8/5 한국최초 통신위성 무궁화호 발사 성공(미국 케이프커내버럴 기지). 8/11 광복 50주년, ‘국민학교’,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발표. 8/14 MS, 윈도우 95 출시. 8/15 경복궁 내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시작. 8/21 용인 경기여자기술학원 방화 참사 사고-37명 사망. 9/5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9/20 광주 비엔날레 개막 (~11/20) 10/24 부여 무장공비 사건. 10/27 수출 1천억달러 돌파. 노태우, 연희동 자택 비자금 관련 대국민 사과. 11/4 작곡자 윤이상 타계. 11/15 지하철 5호설 개통(왕십리~상일동 구간) 11/16 노태우 구속. 11/20 듀스 김성재 사망사건. 11/25 김영삼, 5.18 특별법 제정 지시. 12/2 전두환, 연희동 자택 앞 골목성명. 12/3 전두환 구속. 12/6 민자당, 신한국당으로 개명. 12/31 수인선 협궤열차 마지막 운행.
1996년
1/1 가수 서지원 자살. 1/6 가수 김광석 자살. 1/22 서태지와 아이들, 성균관대 유림회관에서 은퇴 발표. 3/1 국민학교,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4/11 제15대 총선. 신한국 139, 국민회의 79, 자민련 50, 무소속 16. 4/23 강원도 고성 산불. 5/31 2002월드컵 한일 공동개최 결정. 7/5 성덕바우만 골수이식수술. 세계최초 복제양 돌리 탄생. 7/19 애틀랜타올림픽 개막(~8/4) 7/26 경기, 강원지역 집중 호우. 연천댐 붕괴로 파주지역 침수. 8/5 전두환, 노태우 1심공판 -전두환 사형, 노태우 22년 6개월 징역 선고. 8/12 연세대 한총련 사태(~8/20) 9/7 SM엔터테인먼트 소속 5인조 댄스그룹 H.O.T 데뷔. 9/13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PIFF) 개막. 9/18 북한 잠수함 침투 사건(강릉) 9/21 국제원자력기구, 북한에 IAEA의 전면 핵사찰 수용 촉구 결의문 채택. 9/24 한국계 해군정보장교 로버트김 기밀유출혐의로 FBI에 체포. 10/1 러시아 블라디보스토그 최영근 영사 피살. 10/11 한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10/23 안두희, 박기서에 피살. 10/26 이양호 구속. 11/11 남산 1, 3호터널, 혼잡통행료 징수. 11/13 조선통독부건물 완전 철거. 12/16 전두환, 노태우 항소심 선고 공판 (전두환 무기징역,노태우 징역 17년) 12/26 노동관계법, 안기부법 국회 날치기 통과. 12/31 당산철교 운행 중단.

1997년
1/23 한보철강 부도. 1/31 정태수 구속. 2/13 황장엽 노동당 비서 망명. 2/16 이한영 피살. 2/19 중국 등소평 사망. 3/11 시화호 폐수 방류 사건. 박경식 테이프 공개. 4/7 한보청문회 시작. 4/15 남성그룹 ‘젝스키스’ 데뷔 5/17 김현철 구속. 5/19 새정치국민회의, 대선후보로 김대중 선출. 7/1 홍콩, 중국 반환. 7/3 성수대교 재개통. 8/4 캄보디아 훈할머니 귀국. 8/6 KAL기 괌 추락 사고, 232명 사망. 8/19 KEDO 지원 북한경수로 공사 착공. 8/29 제1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개막. 8/31 다이애나 전 영국황태자비, 파리에서 교통사고로 사망9/1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발간. 9/12 박나리양 유괴 13일만에 숨진 채 발견. 10/1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로, 세계문화유산 등록. 개인휴대통신(PCS) 상용서비스 개시. 11/3 DJP 연대, 후보단일화. 11/5 국민신당 창당. 11/21 IMF 구제금융 공식 요청. 11/27 신한국당, 민주당 합당. 한나라당으로 개칭. 11/28 여성그룹 ‘S.E.S’ 데뷔. 12/3 IMF 협상 타결, 구제금융 결정. 12/5 고려증권 영업 정지. 12/6 한라그룹 부도. 12/8 대우그룹, 쌍용자동차 인수. 12/16 환율제한폭 철폐. 12/ 18 제15대 대선,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당선. 김대중 1032만, 이회창 993만. 12.22 전두환, 노태우 사면복권으로 석방.
1998년
1.14 나산그룹 최종 부도처리 1.12 외채상환 금모으기 범국민운동 발대식. 아파트분양가 자율화 조치. 1.13 김대중 당선자, 4대재벌기업 총수면담. 재벌구조정안 합의. 1.23 일본, 한일어업협정 일방적 파기 선언. 2.6 제1기 노사정위원회 협상 타결. 2.17 김동성, 나가노동계올림픽 숏트랙 1000m 금메달. 2.25 제 15대 대통령 김대중 취임. 2.28 정부조직 개편-재정경제원 폐지, 재정경재부 출범. 3.3 국민의 정부 조각 임명. 국무총리서리 김종필, 국방 천용택, 법무 박상천, 교육 이해찬, 행정자치 김정길, 문화 신낙균, 보건 주양자,&nbsp3.18 미도파백화점 부도. 3.21 권영해 전 안기부장, 서울지검에서 북풍공작사건 조사중 자해. 3.31 외채상환 금모으기 운동본부, 익산귀금속보석가공협동조합과 금 공급계약 체결. 4.2 박근혜, 대구 달성 재보선에서 엄삼탁 누르고 당선. 15대 국회 광주룸싸롱 입성. 4.9 스타크래프트, 한국 출시. 5.12 핑클 데뷔. 5.18 박세리, LPGA 챔피언쉽 우승. 남녀 통틀어 역대 최연소 기록. 5.30 정진석주교, 제13대 서울 대교구장 임명. 6.4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정치국민회의 고건서울시장 임창열 경기지사 당선. 6.13 제16회 프랑스월드컵 조별예선 첫 경기. 멕시코에 1-3 역전패(하석주, 선제골 후 퇴장) 6.16 정주영회장, 판문점 통해 소떼 방북. 6.20 프랑스월드컵 조별예선 제2경기. 네덜란드에 0-5 완패. 6.25 윈도우 98 출시. 프랑스월드컵 조별예선 제3경기. 벨기에와 1-1 무승부. 1무 2패로 예선 탈락. 7.4 딴지일보 출범. 7.7 박세리,US오픈 연장라운드 우승. 서태지,첫 솔로앨범 ‘Take one’발매. 8.4 현대그룹, 북한과 금강산관광사업을 위한 합영회사 설립계약 체결. 8.27 언론개혁시민연대 출범. 8.29 새정치국민회의와 국민신당 합당. 8.31 북한, 대포동미사일 발사. 한나라당, 이회창 신임총재 선출. 9.11 경주문화엑스포 개막. 9.18 인터넷 도메인과 IP주소를 할당하는 ICANN 설립. 10.20 문화관광부, 일본문화 단계적개방 발표. 10.19 기아자동차, 제3차 국제경쟁입찰에서 현대자동차에 낙찰. 10.25 KBS 주말연속극 ‘야먕의 전설’ 종영(최완규 각본, 김영진 연출) 11.18 금강산관광 시작. 첫 금강호 출항. 11.21 영화 ‘아름다운 시절’ 개봉 (이광모 감독) 11.26 대도 조세형 석방. 12.1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한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12.30 KBS가요대상 시상식후, HOT와 잭스키스 팬클럽 패싸움. 12.31 제일은행, 미국 뉴 브릿지 GE 캐피털 컨소시엄에 매각.
1999년
1.5 OB베어스, 두산베어스로 개명. 2.12 미국 상원의회에서 클린터대통령 탄핵안 부결. 복제소 영롱이 탄생. 신동아그룹 최순영회장, 외화밀반출 혐의로 구속. 2.23 영화 ‘쉬리’ 개봉 (강제규 감독. 한석규, 최민식, 김윤진 주연) 2.26 공직자윤리위원회, 고위공직자 1058명 재산변동신고내역 공개. 3.16 삼성전자, 세계 최초로 256M D램 생산체제 가동. 4.19 서울지하철공사 파업 돌입. 엘리자베스 2세 방한. 5.11 만민중앙교회, ‘PD’수첩 방영에 반대하는 MBC 난입 방송중단사태. 5.28 김태정 법무장관 부인 연정희, 신동아 최순영회장 부인 이형자 고발. 6.2 서울지검 특수2부, 옷로비사건 수사결과 발표. 6.15 서해교전 발생(제1 연평해전) 6.30 화성 씨랜드청소년수련원 화재사건-유치원생 19명 등 23명 사망. 삼성자동차, 법정관리 신청. 7.16 탈옥수 신창원, 탈옥 2년 5개월만에 검거. 7.27 이대입구에 스타벅스 1호점 개점. 8.13 신구범 축협회장, 협동조합 통합에 반대하는 국회 할복자살 시도. 8.2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옷로비 청문회. 8.25 정보통신부, 이동통신 가입자 2천만명 돌파 발표. 9.10 일본문화 2차 개방. 9.28 국회, 동티모르 다목적군 파병안 가결. 9.29 AP통신, 노근리 양민학살사건 보도. 10.1 정주영 평양 방문, 김정일과 면담. 10.3 월성 3호기 원자력 누출사고. 10.6 인천 지하철 1호선 개통. 10.30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로 중고생 등 52명 사망. 12.20 옷로비사건 특검팀, 수사결과 발표.
2000년
1.1 영화 ‘박하사탕’ 개봉 (이창동 감독. 설경구 문소리 김여진 출연) 1.20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 민주당으로 개명. 1.22 프로야구선수협회 결성. 1.30 민주노동당 창당. 2.17 윈도 2000 출시. 3.31 SK와이번스 창단. 4.13 제16대 총선. 한나라당 133, 새천년 민주당 115, 자유민주연합 17. 7.1 의약분업 시행. 8.1 서울지하철 7호선 개통. 8.5 언론사 사장단, 김정일 초청으로 방북. 8.8 현대그룹, 3차 소떼 방북. 8.10 서울, 판문점, 개성간 육로관광 합의. 8.15 서울과 평양에서 남북이산가족 상봉. 9.2 비전향장기수 63명 판문점 통해 북송. 9.9 &nbsp‘공동경비구역 JSA’ 개봉 (박찬욱 감독. 송강호 이병헌 이영애 주연) 9.10 시드니올림픽 개막, 남북한 동시 입장. 9.18 경의선 연결공사 기공식. KBS드라마 ‘가을동화’ 첫 방영(윤석호 연출. 송혜교 송승헌 원빈 한채영 출연) 9.20 박지원 문화관광부 장관, 한빛은행 외압대출사건으로 사임. 10.13 스웨덴 한림원,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김대중 발표. 11.7 조지 부쉬, 엘 고어 누르고 미국대통령 당선. 11.23 주병진 강간치상 혐의로 구속. 12.15 서울지하철 6호선 전구간 개통. 12.24 시인 서정주 타계.
2001년
1.1 대한축구협회, 월드컵대표팀 감독에 히딩크 선임. 2.8 국세청, 23개 중앙언론사 대상 법인세 세무조사 시작(~6.19) 1.15 위키백과 개시. 1.20 조지 워커 부시, 제43대 미국대통령 취임. 3.21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타계. 3.31 영화 ‘친구’ 개봉 (곽경택 감독. 유오성 장동건 주연) 3.29 인천국제공항 개항. 5.13 수원월드컵경기장 개장. 7.14 동아일보 김병관 명예회장 부인 안경희씨 자살. 7.21 영화 ‘엽기적인 그녀’ 개봉 (곽재용 감독. 전지현 차태현 주연) 8.17 서울지검,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조세포탈 및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등 혐의로 조선일보사장 방상훈 명예회장 김병관, 국민일보 회장 조희준 구속. 서울구치소 수감. 8.30 국가청소년위원회, 청소년대상성범죄자 169명 신상공개.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 임동원장관 자진사퇴 촉구. 9.3 국회 본회의, 통일부장관 임동원 해임 건의안 가결(267명 투표, 찬성 148, 반대 119) 장재식, 배기선, 송석찬 자민련 탈당. 9.11 알카에다의 9.11테러로 3천여명 사망. 9.28 판교신도시 개발안 확정. 10.4 금강산관광 활성화를 위한 남북당국자 회담. 10.7 미국, 아프가니스탄 침공. 10.12 대검 특별감찰본부, 이용호 게이트 특감조사 발표. 10.24 서울지검 외사부, 수지김 살인 및 사기 등 혐의로 윤태식 긴급체포. 11.29 비틀즈 멤버 조지 해리슨 타계. 12.14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국내개봉.
2002년
1.29 조지 부시 미국대통령 연두국정연설에서 ‘악의 축’ 발언. 2.2 유승준, 인천공항에서 법무부출입국관리소에 입국 거부 당함. 2.25 철도, 가스, 발전공동파업 (2.28까지 열차운행중단) 2.27 KBS KOREA 개국-스카이KBS, KBS 스포츠, KBS 드라마 케이블TV 개국 디지털위성 개시. 5.31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제17회 FIFA 월드컵축구대회 개막(~6.30 ) 6.4 한국, 월드컵 조별예선 첫 경기에서 폴란드에 2:0으로 승리. 월드컵출전 48년만에 첫 승. 6.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시장 이명박(한나라당), 경기지사 손학규(한나라당) 당선. 경기도 양주에서 주한미군 보병2사단 장갑차에 의한 여중생(신효순,심미선) 압사 사건 발생. 6.14 한국, 월드컵 조별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포르투갈에 1:0 승리. D조 1위로 사상 첫 16강 진출. 6.29 서해교전(제2연평해전) 발생. 윤영하 소령 등해군 6명 전사. 7.31 장상 국무총리지명자 인사청문회. 8.4 남북간 실무자 접촉, 제7차남북장관급회담 재개와 북한선수단의 아시안게임 참가 논의. 8.12 제7차 남북장관급회담(제7차). 8.20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84년 광주룸싸롱 의문사 허원근 일병 사건 진상 발표. 8.24 소리바다 서비스 재개. 8.28 장대환 국무총리지명자에 대한 국회인사청문회. 8.27 코미이언 이주일 타계. 8.30 제2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경의선, 동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 착공 관련 8개 항목 합의. 8.30 태풍 루사, 전국 강타. 9.3 탈북자 16명, 북경 독일대사관 직원 숙소에 진입하여 망명 요청. 9.8 영화 ‘오아시스’, 제59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감독상(이창동), 신인배우상(문소리) 수상. 남북적십자사, 금강산 지역에 이산가족면회소 공동설치 등 6개항 합의사항 발표. 9.10 김대중대통령, 국무총리서리에 김석수 전 중앙선관위원장 임명. 9.12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1974년 인혁당재건위원회사건이 중앙정보부 조작이라고 발표. 9.13 제5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참가한 남측 가족단, 장전항 도착. 9.17 남북간 DMZ 군사보장합의서 공식 발효. 9.18 경의선 및 동해선의 철도와 도로 연결공사 동시 착공. 9.23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참가 북한선수단 부산 도착. 9.24 남북간 군사 핫라인 분단이후 처음 개통. 9.25 건설교통부, 아산 신도시 107만평 택지지구 지정. 9.26 대구 와룡산에서 1991년 실종됐던 성서 초등학생 다섯 명 유골 발견. 9.29 제14회 부산아시안 게임 개막(~10월 14일) 10.11 실거래가 기준 양도소득세 부과등 5차 부동산종합대책 발표. 10.14 신승남 검찰총장 사퇴. 11.15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옹 타계. 12.18 정몽준, 대선 하루 앞두고 노무현 지지 철회. 12.19 제16대 대통령 선거-새천년 민주당 노무현, 한나라당 이회창 누르고 당선. 영화 ‘반지의 제왕-두 개의 탑’ 개봉.
2003년
01.10북한 핵 확산 금지 조약 탈퇴 선언.02.01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귀환 도중 미국 텍사스 상공에서 공중폭발.02.18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발생. 192명 사망. 148명 부상.02.24제15대 대통령 김대중 임기가 종료됨.02.25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임기가 시작됨.02.27고건, 국무총리에 취임하다.03.05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후진타오를 국가 주석으로, 원자바오를 총리로 각각 선출하다.03.19미국, 이라크를 침공함으로써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다.04.09이라크 전쟁: 미군, 영국군이 바그다드를 함락시키다.08.04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장이 투신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다.(대북 송금 사건)08.13이효리 1집 솔로앨범 개시.08.21제22회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대구광역시에서 개막.08.28제6차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합의문 발표.09.01종합부동산세 신설 등 관련 세법 개정 추진을 발표하다.09.12태풍 매미, 127명의 사망자 및 5조 원 가까운 재산피해가 발생하다.09.17제8차 남북군사실무회담에서 ‘동·서해지구 남북관리구역 임시도로통행의 군사적 보장 위한 잠정합의서의 보충합의서’가 채택되었다.09.26이승엽이 55호 홈런으로 한국 프로야구 시즌 신기록을 세우다.09.27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첫 과학기술위성 1호, 발사 성공.09.29노무현 대통령이 민주당 탈당을 공식 선언하다.10.02프로야구 선수 이승엽, 56호 홈런으로 아시아 최다기록 수립.10.10노무현 대통령이 재신임 국민투표를 제안하다.11.01열린우리당이 창당되다.12.13이라크 전쟁,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이 체포되다.12.26남성 5인조 동방신기 데뷔.

2004년
02.13이라크 파병결의안이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에서 가결되다.03.11대우건설 사장 남상국 자살03.12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에서 찬성 193표, 반대 2표로 가결되어, 국회를 통과하다04.01한국고속철도(KTX)(동대구~경주, 울산 경유 부산 구간 제외)가 개통되고 통일호가 폐지되다04.1517대 총선이 실시되다. (열린우리당 153석으로 원내 제1당, 한나라당 121석으로 제2당, 민주노동당 10석으로 제3당)05.14헌법재판소,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 기각.06.17김선일 이라크 무장단체에 납치당함.06.19KBS 가족오락관 1000회 특집 방송하다.06.22김선일, 알 자르카위가 이끄는 무장단체에 의해서 피살당하다.07.18부유층 연쇄살인사건과 안마사 토막살인사건을 포함해 총 19명을 살인했다고 진술한 연쇄살인 용의자 유영철 검거.09.12김기덕 감독이 영화 “빈 집”으로 제 61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다09.23성매매 특별법이 23일 0시부터 시행되어 불법 성매매 업소들에 대한 한달간의 일제단속에 들어가다.10.11성우 장정진 방송사고로 사망10.21헌법재판소, 행정수도 이전법을 위헌 판결하다.11.02공화당 소속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재선되다.12.26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서쪽에서 리히터 규모 9.1의 강진에 이어 강력한 해일이 발생하여, 인도네시아와 주변 국가들에서 최대 31만여 명에 달하는 사망·실종 피해가 발생하다.12.31경인방송, 폐국
2005년
01.19서울시는 서울의 새 중국어 표기로 首尔(서우얼번체 首爾) 확정.02.16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교토 의정서가 발효됨.03.16문화재청에서 독도천연보호구역 관리지침을 개정해 일반인들의 독도관광을 허용하기로 하다.04.05강원도 고성과 양양지방에 큰 산불이 일어나 주민이 대피하고 사찰 낙산사가 전소되는 등 큰 피해를 입다.05.19황우석 서울대 석좌 교수 “배아 줄기 세포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하다06.05미국 메이저 리그 야구 텍사스 레인저스 박찬호 선수가 메이저 리그 진출 이후 100번째 승리를 거두다.06.07남성 5인조 SS501 데뷔.06.19경기도 연천 부대 총기난사사건 발생. 9명 사망.06.22박지성 선수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06.24과학기술부,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를 제1호 최고과학자로 선정하다.07.30문화방송 음악캠프 방송사고가 생방송 도중에 일어나다08.30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 루이지애나주의 뉴올리언스 를 강타09.06태풍 나비 상륙.10.01청계천에 다시 물이 흐르기 시작.10.03경북 상주에서 상주 콘서트 압사 참사 발생.10.12북관대첩비,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환수.10.28국립중앙박물관이 개관하다.11.06남성 12인조 슈퍼주니어 데뷔. (데뷔 당시 12인조)12.01평일 지상파 TV 낮 방송 개시/ 지상파 DMB 본 방송 개시.
2006년
01.02새 5000원권이 통용되다.01.29현대미술가 백남준 사망05.12검찰,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 최종 수사 결과 발표05.20신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피습.05.31제4회 지방 선거가 전국에서 실시되다.(한나라당 압승, 열린우리당, 민주당 참패)10.09북한이 오전 10시 35분경 함경북도 화포리에서 핵실험을 실시하다.10.09오락채널 tvN이 개국하다.10.14반기문 장관이 유엔사무총장으로 선출되다.11.05사담 후세인 이라크 전 대통령,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다.11.15부동산종합대책을 발표하다.12.08경부선 전철화 조치원~대구 158km 개통 서울~부산 전구간 전철화 완전개통.12.15수도권 전철1호선 의정부~소요산 개통 / KTX광명역 수도권 전철 개통.12.18지름 18㎜, 무게 1.2g의 새 10원 동전(기존 : 지름 22.86㎜, 무게 4.06g) 발행 시작.12.30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 교수형 집행.
2007년
01.01반기문 국제 연합 사무총장 임기 시작.01.09노무현 대통령 4년 연임제 헌법 개정 제안01.10개그우먼 김형은 사망01.15성균관대 김명호교수 석궁 테러 사건01.18장편만화영화 로보트 태권브이가 30년 만에 디지털복원 상영되다.01.21가수 유니 자살01.22새 10000원권, 1000원권이 통용되다.01.23인혁당 재건위 사건에 대해 무죄가 선고되다02.04국악전문채널 국악방송(서울경기 FM 99.1MHz)이 국립국악원에서 서울 상암동 DMC로 이전.02.06김한길, 강봉균 등 열린우리당 의원 23명이 당을 탈당02.10배우 정다빈 사망02.16한국방송공사가 라디오 방송 80년을 맞았다.02.18노무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을 공식 탈당하다.03.19손학규 전 경기도 지사가 한나라당 탈당을 공식 선언하다.04.02한미자유무역협정 협상 타결.04.17미국 버지니아 주 블랙스버그에 위치한 버지니아 공대에서 무차별 총격으로 자살한 범인을 포함하여 33명이 사망하고 29명의 부상자가 발생하다.05.06프랑스 대통령선거 결선투표. 니콜라 사르코지 당선.05.15한국인 선원들이 타고 있는 배 마부노호가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피랍 05.17한국 아동 문학가 권정생 타계.06.07가수 방실이, 뇌경색으로 광주룸싸롱 쓰러지다.06.09야구선수 양준혁, 한국 프로야구 최초로 2000안타를 달성.06.27영국의 새 총리, 고든 브라운 취임하다.06.27제주도가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다.06.29애플사의 아이폰이 출시되다.07.16일본 니가타 현 인근에서 리히터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 자동차 생산 중단, 방사능 유출되다. .07.19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에 의해 한국인 납치 사건이 일어나다.08.09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의 영향으로 다우 존스 공업평균지수가 사상 최대의 폭락폭인 387.18 포인트를 기록하며 폭락하다.08.20한나라당, 이명박을 한나라당 17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09.02탈레반 납치 인질 19명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09.10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 신정아 스캔들로 사퇴.10.02노무현 대통령, 제2차 남북정상회담차 평양 방문.11.03김용철 전 삼성그룹 법무팀장, 이건희 회장의 로비 관련 문건 공개.11.14야3당과 한나라당, 삼성 비자금에 대한 특검법안 제출. 11.16BBK 주가조작 의혹 핵심 인물인 김경준이 귀국하다.11.19이용철 변호사, 청와대 법무비서관 재직시 현금 500만 원의 뇌물이 든 가방을 삼성으로부터 받았다가 돌려준 적이 있다고 폭로.11.272012년 세계 박람회 개최지로 대한민국 전남 여수시가 확정되다12.05검찰, 이명박 대선후보의 BBK 주가 조작 사건 무혐의 발표.12.19대통령 선거. 이명박 후보 당선.
2008년
01.01호주제 폐지.01.03권투선수 최요삼 사망02.10국보 1호 숭례문 방화로 인해 전소.02.19쿠바의 피델 카스트로가 국가평의회 의장직을 퇴임하다.02.21이명박 당선인의 여러 의혹을 수사해 온 정호영 특별검사가 수사 결과 발표. 이명박 당선인 무혐의 판명.02.25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임기가 종료됨.02.25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이명박 임기가 시작됨.03.02러시아 대통령선거, 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선.04.02그룹 거북이의 리더 터틀맨 사망04.09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실시되다.04.17삼성 특검 조준웅 특별검사 수사 결과 발표.04.18한미 쇠고기 협상 타결.04.18이명박 대통령 내외 방미04.29민족문제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의 명단 공개.05.02미국산 광우병 소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시위 처음 열리다.05.05소설가 박경리 사망05.12중국 쓰촨성에서 진도 7.8의 대지진이 발생하다.06.10미국소 수입 반대 촛불집회에서 경찰추산 10만, 주최측 추산 최대 50만명이 모이다07.114금강산에서 관광객 박왕자가 북한군에 의해 피격되다.08.0829회 베이징 올림픽이 개막하다. (~ 8월 24일)08.16장미란이 역도 인상 140kg, 용상 186kg으로 총 326kg을 들어올려 세계 신기록 달성하다.08.16우사인 볼트 육상 100M 종목 9.69로 세계 신기록 달성.08.17마이클 펠프스가 베이징 올림픽에서 8관왕을 달성, 올림픽에서 최다 메달(금메달 14개, 동메달 2개)을 획득한 선수로 기록되다.08.23야구 대표팀이 올림픽에서 결승상대인 쿠바를 꺾고 3대2로 금메달을 따고 9전 전승을 거두다. 9월 - 탤런트 안재환 자살10.02탤런트 최진실 자살11.04미국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다.11.05민주당 소속의 버락 오바마 (Barack Obama) 당선되다.12.15배우 박광정 사망12.26전국언론노동조합 언론 총파업 실시.12.28MBC 방송장악 규탄 시위 및 파업 선언,
2009년
01.20용산에서 철거민들과 경찰과 대치, 6명 사망하고 17명 부상.01.20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취임. 01.24연쇄 살인범 강호순 검거되다.02.16김수환 추기경, 87세를 일기로 선종하다02.25흥길 국회 문방위원장은 미디어 관련법 직권상정. 03.06탤런트, 영화배우 김흥기 사망03.07여배우 장자연이 유서로 추정되는 글을 남긴 채 자살다.04.20인터넷 논객 미네르바, 허위사실 유포 등에 대해 무죄 선고받다.04.30노무현 전 대통령, 검찰 소환조사 받다05.23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05.29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 영결식 엄수.05.29에버랜드 전환사채(CB) 불법 증여 혐의로 기소된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에 대해 무죄 확정.06.235만원권 지폐 발행 시작.07.02북한, 4발의 지대함 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07.04북한, 6발의 스커드 미사일을 동해상으로 발사.07.24지하철 9호선 1단계 구간 (25개역)개통.08.01광화문 광장이 일반시민에게 공개되다08.18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08.21북 조문단 김대중 전 대통령 분향소 방문08.23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영결식 엄수.08.23대한민국의 첫 발사체인 나로호가 발사, 그러나 실패.09.01배우 장진영 사망10.19인천대교 개통. 인천대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다리이다.10.22윈도 7 정식버전과 윈도 서버 2008 R2버전 출시.11.03하루 9,000여명이 신종 플루에 동시 감염되다. .12.27UAE가 발주한 총 200억달러(한화 24조원대) 규모의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를 한국전력공사 컨소시엄이 수주하다.
2010년
01.04서울과 중부지방에 기상 관측 이래 최대 폭설.02.26김연아 선수가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총합 228.56점으로 역대 최고점수를 기록하며 우승, 한국의 피겨선수로는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 수상.03.11법정 스님 사망03.26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소속 1,200톤 급 초계함 천안함 침몰.04.03애플에서 만든 태블릿형 컴퓨터 아이패드 미국에서 출시되다.05.20천안함 침몰 사건의 원인이 북한 어뢰공격이라고 공식 발표.06.02제5회 지방 선거가 전국에서 실시되다.06.10나로호가 재발사되었으나 고도 70km 지점에서 폭발, 추락하다.06.30배우 겸 가수 박용하 사망07.14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기상 관측 역사상 최고 기록.08.11제4호 태풍 뎬무 남부지방 강타09.01MBC 문화방송 경기인천지사 개국.09.13KBS 경인방송센터 개국11.11제5차 G20 서울 정상회의 개최되다.11.23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발생11.29경상북도 안동시에서 구제역 발생, 전국으로 확산.12.31방송통신위원회, 종편 사업자에 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매일경제를, 보도채널 사업자에 연합뉴스를 선정.
2011년
01.111세대 인권변호사 이돈명 사망01.22소설가 박완서 사망03.04청와대 등 국내 40여개의 웹사이트 디도스 공격 받다.03.11일본 동북부 미야기 현 센다이 시 앞바다, 태평양 연안에서 리히터 규모 9.0의 강진이 발생. 그 뒤로 쓰나미가 북동부 지역을 강타하여 최소 10,000여명 사망·실종되는 등 큰 피해를 입다.03.12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폭발03.20미국, 프랑스, 영국을 주도로 한 다국적군이 리비아를 향한 공격과 공습을 가하는 오디세이 새벽 작전을 개시하다.03.23엘리자베스 테일러 사망04.08북한, 현대그룹의 금강산 관광사업 독점권 효력 취소 발표04.12농협의 대규모 전산망 장애 발생.05.01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막내아들과 손자 3명, 나토군의 미사일 공습으로 사망.05.02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이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 외곽에서 미군의 작전과정에서 사살됐다고 공식 발표.05.04한국·유럽연합 (EU) 자유무역협정 (FTA) 비준 동의안이 여당인 한나라당 단독으로 본회의를 열어 비준 동의안을 상정, 최종 통과시킴.05.25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기록물과 조선 왕조 후기 임금의 일기인 일성록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다. 05.27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약탈되었던 297책의 외규장각 의궤가 대한민국에 모두 반환되다.07.06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강원도 평창으로 결정.07.27강원도 춘천시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9명이 사망하고 20명이 실종07.29왕재산 간첩단 사건 발표08.26오세훈 서울시장, 시장직 사퇴.08.27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808.31제6회 2011 서울 드라마 어워즈 개최.09.03전태일 어머니 이소선여사 사망09.06서울시장 보궐선거,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원장 불출마 및 박원순 상임이사 단일화 발표09.10곽노현 서울시 교육감 구속09.14전 프로야구 선수 최동원 사망10.05애플사 전 CEO 스티브 잡스 사망10.26서울시장 보궐선거 박원순 후보 당선10.31세계 인구 70억명 돌파.11.22한미 자유무역협정 비준 동의안 국회 통과.12.01JTBC,채널A,TV조선,MBN 등 종편채널과 보도전문채널 뉴스 Y 개국.12.17북한 국방위원장 김정일 광주룸싸롱 사망12.30전 국회의원 김근태 사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