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의 명장면들] 선조의 즉위, 조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0회본문
[정권교체의 명장면들] 선조의 즉위, 조
[정권교체의 명장면들] 선조의 즉위, 조선 지배층이 교체되다▲ 2022년 4월 4일 서울 경복궁 사정전(思政殿) 내 만춘전(萬春殿) 앞에서 열린 제3회 퇴계 선생 귀향길 걷기 '퇴계의 길에서 길을 묻다' 개막식을 마친 참가자들이 도포와 갓을 차려입고 출발해 경복궁 광화문 앞을 지나고 있다. 선조는 퇴계 이황을 스승으로 대우했다. ⓒ 연합뉴스조선왕조 518년간의 정권교체들 중에서 정치사뿐 아니라 사회사적으로도 커다란 의미를 띠는 것이 있다. 단순한 정파 교체로 끝나지 않고 지배층 교체로까지 귀결된 사건이다. 임진왜란 25년 전인 1567년 8월 7일(음력 7.3) 선조 임금의 즉위는 그런 의미를 갖는 역사적인 정권교체다.선조 개인만 놓고 보면, 그의 즉위는 약체 군주의 출현이었다. 선조는 선왕인 명종의 아들이 아니다. 그는 명종의 아버지인 중종이 낳은 덕흥군이라는 서자의 아들이었다. 광해군의 예에서 나타나듯이 '왕의 서얼'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설움을 톡톡히 받을 수 있었다. 선조는 '왕의 서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왕의 서얼의 아들'이었다.그러나 그의 즉위는 역사적인 지배층 교체를 수반했다. 이는 낡은 지배층인 훈구파가 퇴장하고 신진 지배층인 사림파가 역사의 주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훈구파→사림파로 넘어간 조선의 권력그 이전 시대를 주도한 훈구파는 1392년 건국 이후의 주요 정변들에서 공로를 세워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수도권에 기반을 둔 대토지 소유자들이었다. 이것이 훈구파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반면, 유림세력인 사림파는 정변보다는 성리학적 교양을 기초로 과거시험 급제나 학문적 명성을 성취하고 이를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했다. 이들의 '지역구'는 주로 지방이었다. 부동산 보유 규모로 보면, 일반적으로 중소 지주였다.일반 대중이 볼 때는 훈구파는 물론이고 사림파도 딴 세상 사람들이었다. 그렇지만 훈구파에 비하면 사림파가 상대적으로 건전했다. 사림파는 절차를 중시하고 도(道)를 따졌다. 대토지 소유를 견제했기 때문에 경제정의 측면에서도 비교적 깨끗했다. 선비 출신 관료들이 겉으로라도 항상 청빈한 삶을 표방한 것은 사림파가 대토지 소유자들의 라이벌이었던 것과 무관치 않다.사림파는 선조 즉위 훨씬 전인 1516년부터 1519년까지의 기간에도 집권한 일이 있다.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을 옹립한 훈구파를 견제할 목적으로 중종이 34세의 신진 관료인 조광조에[정권교체의 명장면들] 선조의 즉위, 조선 지배층이 교체되다▲ 2022년 4월 4일 서울 경복궁 사정전(思政殿) 내 만춘전(萬春殿) 앞에서 열린 제3회 퇴계 선생 귀향길 걷기 '퇴계의 길에서 길을 묻다' 개막식을 마친 참가자들이 도포와 갓을 차려입고 출발해 경복궁 광화문 앞을 지나고 있다. 선조는 퇴계 이황을 스승으로 대우했다. ⓒ 연합뉴스조선왕조 518년간의 정권교체들 중에서 정치사뿐 아니라 사회사적으로도 커다란 의미를 띠는 것이 있다. 단순한 정파 교체로 끝나지 않고 지배층 교체로까지 귀결된 사건이다. 임진왜란 25년 전인 1567년 8월 7일(음력 7.3) 선조 임금의 즉위는 그런 의미를 갖는 역사적인 정권교체다.선조 개인만 놓고 보면, 그의 즉위는 약체 군주의 출현이었다. 선조는 선왕인 명종의 아들이 아니다. 그는 명종의 아버지인 중종이 낳은 덕흥군이라는 서자의 아들이었다. 광해군의 예에서 나타나듯이 '왕의 서얼'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설움을 톡톡히 받을 수 있었다. 선조는 '왕의 서얼'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왕의 서얼의 아들'이었다.그러나 그의 즉위는 역사적인 지배층 교체를 수반했다. 이는 낡은 지배층인 훈구파가 퇴장하고 신진 지배층인 사림파가 역사의 주인이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훈구파→사림파로 넘어간 조선의 권력그 이전 시대를 주도한 훈구파는 1392년 건국 이후의 주요 정변들에서 공로를 세워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 수도권에 기반을 둔 대토지 소유자들이었다. 이것이 훈구파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반면, 유림세력인 사림파는 정변보다는 성리학적 교양을 기초로 과거시험 급제나 학문적 명성을 성취하고 이를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했다. 이들의 '지역구'는 주로 지방이었다. 부동산 보유 규모로 보면, 일반적으로 중소 지주였다.일반 대중이 볼 때는 훈구파는 물론이고 사림파도 딴 세상 사람들이었다. 그렇지만 훈구파에 비하면 사림파가 상대적으로 건전했다. 사림파는 절차를 중시하고 도(道)를 따졌다. 대토지 소유를 견제했기 때문에 경제정의 측면에서도 비교적 깨끗했다. 선비 출신 관료들이 겉으로라도 항상 청빈한 삶을 표방한 것은 사림파가 대토지 소유자들의 라이벌이었던 것과 무관치 않다.사림파는 선조 즉위 훨씬 전인
[정권교체의 명장면들] 선조의 즉위, 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