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아이폰17 프로 개봉, 디자인은 그래도 카메라 스펙 만족스럽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Iliana 댓글 0건 조회 5회

본문

저번 아이폰17 애플 이벤트 공개 직후 사전예약으로 구매하게 된 아이폰17 프로를 출시 당일에 맞춰 애플 스토어에서 픽업 수령을 하게 되었다. 디자인적으로는 많은 호불호를 양산했는데, 카메라가 이전보다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는 점과 베이퍼 챔버로 인한 발열 감소, 배터리 용량 향상 등등... 새로 얻는 가치들이 많아서 불만을 무릅쓰고 구매를 결정하게 된것이다. 개봉기를 진행하게 되면서 어떤 특장점을 겪었는지 간단하게 설명해보려고 한다.​1, 티타늄에서 알루미늄 프레임 디자인으로 변경아이폰17 프로 박스를 개봉하면서 가장 먼저 눈에 띄었던 점으로는 외관 소재가 티타늄에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15프로부터 애플은 티타늄 소재를 고급스럽게 포장하고, 일반형에는 알루미늄으로 설계하는 등 차별화를 두는 마케팅을 펼쳤는데, 의아하게도 아이폰17 이번 모델에는 알루미늄으로 전환했다는 점이다. 원가 절감 때문에 너프를 먹인 것이냐는 논란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이렇게 바꾼 것은 단순한 원가절감이 아닌 효율적인 방열을 위해서라고 한다.​이번 17 Pro에 적용되는 열간 단조 알루미늄 유니바디는 애플 피셜에 따르면, 기본 티타늄 대비 20배 높은 열전도율을 가져 방열에 유리하다고 한다. 고사양 칩셋으로 고성능의 모바일 게임을 돌리다 보면, 발열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이는 애플의 적절한 판단일 수도 있겟다. 기존까지 필자가 사용하던 15 Pro가 툭하면 발열이 심하고 그랬는데, 이번 모델 만큼은 확실히 그런 부분에서 개선한 티가 돋보인다.​소재는 그렇다 치더라도 아이폰17 프로가 가장 호불호가 갈리는 요소로는 단연 디자인에 아이폰17 있다. 특히 후면의 수평형 카메라바로 완전이 확장되었고, 플레토(Plateau)라고 불리는 이 카메라 섬 안에 카메라와 스피커, 로직 보드, 안테나 등 핵심 부품들을 몰아 넣었고, 나머지 공간은 배터리로 꽉 채웠다. 그리고 이렇게 바뀐 것은 카메라 성능 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 ​애플이 정말로 오래간만에 대대적으로 바꾸는 카메라 섬 디자인이라 나 역시도 처음 보자마자 어색함이 좀 느껴지기는 했다. 근데, 필자는 해당 모델을 구매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가 실질적으로 향상된 카메라 성능 때문이라서 이 부분은 어쩔 수 없이 감안하면서 사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무선 충전과 맥세이프 등 여러가지 요소를 위해 하단에 유리 소재가 아이폰17 반영되는 등 투톤 디자인을 채택했다. 투톤보다는 단일한 색감을 원하는 나에게는 좀 별로라고 생각했지만, 어차피 케이스를 쓰고 다닐거라 큰 문제로 느껴지지는 않았다.​아이폰17 프로 디자인의 감각을 더해주는 색상은 실버 / 코스믹 오렌지 / 딥 블루 이렇게 세 가지로 나왔는데, 개인적으로 오렌지는 고급 지향성을 추구하는 프로하고 매칭이 잘 안맞기도 하고 그래서 그냥 심플한 실버 컬러를 선택했다. 실버도 괜찮기는 한데, 예전에 자주 사용했던 블랙 컬러가 이번 모델에 제외되어서 안타까움이 들긴 하다.​2. 유의미하게 변한 성능과 발열 해소일단 이 부분은 마음에 든다. 17 프로에는 TSMC N3P 제조 기반의 A19 PRO 칩셋이 탑재되는데, CPU 6코어 / GPU 아이폰17 6코어 / NPU 16코어로 구성되었고, CPU 최대 성능은 Geekbench 6 기준 4000점 / 11000점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특히 GPU 성능이 올라갔다는 점이 경이로운데, 긱벤치6 그래픽 테스트에서 전작보다 37% 정도 향상되는 점수를 기록했다고 한다. ​bilibili 자료 펌요즘에 나오는 고사양 모바일 게임들은 이전 기종으로도 충분히 돌리기 때문에 성능 체감이 크게 안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사실 개인적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은 AAA 타이틀을 어느정도 돌릴 수 있는 수준으로 진입하고 있는 중이라는 거다. 특히 GPU 쪽이 개선된 A19 프로 칩셋은 콘솔이나 PC에서 구동할 수 있었던 바이오하자드4 리메이크를 52FPS로 즐기거나 할 수 있게 된것이다. ​물론, 필자는 아직 아이폰17 이런 게임들을 모바일에서 구동은 안해봤지만, 갈수록 모바일 AP 스펙이 향상됨에 따라 데스크톱 프로세서와의 경계가 흐릿해지고 있는 것을 본다면 앞으로의 잠재력이 기대가 된다고 볼 수 있겠다. 다만, A19 PRO도 마찬가지로 모바일 칩셋에 불과한 만큼, 전력 소모가 많아서 배터리 수명이 영향이 갈 가능성도 배제해서는 안된다. 아직 개선할 여지는 많겠지만, 아무튼 장족의 발전을 이뤄낸건 사실이다.​그리고 아이폰 17 프로의 발열도 이전보다 해소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했다. 다름이 아니라 베이퍼 챔버가 처음으로 들어가서 발열로 인한 성능 저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해줬기 때문. 게이밍폰으로 활용하려는 목적이 강한다면, 이는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이외에도 넉넉한 12GB RAM과 아이폰17 이전보다 더 여유 공간이 많아진 배터리 용량 및 최대 40W 유선 고속 충전 지원, 256GB의 기본 용량 제공 등등 다양한 장점 요소들이 추가되었다고 보면 된다.​3. 의미 있게 바뀐 카메라 성능사실 내가 아이폰17 프로로 기변하게 된 이유 중 1순위가 바로 카메라의 성능 변화다. 일단 망원 카메라 스펙이 대폭 향상되었는데, 센서 크기가 56% 증가함과 동시에 12MP 5배 줌에서 48MP 4배 줌으로 바뀐 것. 물론, 줌 배율은 한단계 더 낮아졌지만, 이러한 단점을 뒤엎을 만한 8배 광학줌을 지원한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드는 변화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망원의 활용 범위가 높은 나에게 있어서는 최적의 스마트폰으로 작용되었다. 아이폰17 멀리 있는 피사체가 이전보다 더 선명해진 느낌을 받아볼 수 있었고, 요즘에는 퀄리티가 중요한 제품 사진이나 그런 것들도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이 많이 늘어나게 되었고, 동영상 역시 ProRes RAW를 지원하는 등 여러모로 플러스 요인들이 많아지는 것 같았다. 사실 기본형도 120Hz 디스플레이를 이제서야 지원하는 등 일상적인 목적으로 활용하는 일이 많다면, 굳이 프로 라인업으로 바꿀 이유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필자처럼 카메라 성능을 더 중시하거나 모바일 게임의 비중이 더 높다면, 아이폰17 프로 스펙이 크게 체감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나 또한 이런 부분에서 마음에 들었고, 앞으로도 카메라를 더 많이 활용해보면서 사용 경험을 쌓아보고 추후 포스팅에서 언급해보려고 아이폰17 한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