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And 책과 길] 위험한 미국사김봉중 지음, RH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3회

본문

콜백서비스 [And 책과 길] 위험한 미국사김봉중 지음, RHK, 268쪽, 1만8500원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이전에도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호무역 정책을 여러 차례 시행했다. ‘위험한 미국사’는 이런 역사적 맥락 속에서 트럼프 시대를 고찰한다. 게티이미지뱅크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어디로 튈지 모르는 말 한마디에 전 세계는 요동친다.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보였던 한미 정상회담 열흘 만에 300여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되는 사태는 트럼프 집권 이후 혼돈과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트럼프 시대를 맞아 ‘트럼프 현상’을 점검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위험한 미국사’는 미국의 역사라는 큰 흐름을 통해 트럼프의 시대를 해석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는 책이다. 미국사를 모르면 트럼프 현상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저자는 트럼프가 ‘이단아’인 것은 분명하지만 미국 역사의 맥락과 배치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먼저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 이전에도 미국은 여러 차례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호무역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대부분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했다. 1828년에 시작된 고관세 정책은 미국 북부 지역의 제조업 성장에 이바지했다. 하지만 농업 중심의 남부지역은 원자잿값 상승과 곡물 수출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크게 반발했다. 북부와 남부의 이해관계 충돌은 1861년 남북 전쟁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미국 제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외 철강 섬유 등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 1890년 ‘매킨리 관세법’은 중산층과 노동자 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키우며 내수 시장 위축을 불러와 1893년 대공황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평균 관세율을 60%까지 끌어 올렸던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은 미국의 경제 위기뿐만 아니라 유럽 경제에도 심각한 불황을 몰고 와 독일의 나치가 세력을 확장하는 토양이 됐다.미국은 이민자의 나라로 알려졌지만, 사실 이민자를 배척하는 정책은 뿌리가 깊다. 1840년대 아일랜드 대기근 이후 아일랜드 이민자가 대거 미국으로 몰리자 반이민주의 정당인 ‘미국당’이 등장해 앵글로색슨 중심의 인종 차별주의를 공공연히 내걸기도 했다. 1882년에는 중국인 노동자의 입국을 금지[And 책과 길] 위험한 미국사김봉중 지음, RHK, 268쪽, 1만8500원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이전에도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호무역 정책을 여러 차례 시행했다. ‘위험한 미국사’는 이런 역사적 맥락 속에서 트럼프 시대를 고찰한다. 게티이미지뱅크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어디로 튈지 모르는 말 한마디에 전 세계는 요동친다.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보였던 한미 정상회담 열흘 만에 300여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되는 사태는 트럼프 집권 이후 혼돈과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트럼프 시대를 맞아 ‘트럼프 현상’을 점검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위험한 미국사’는 미국의 역사라는 큰 흐름을 통해 트럼프의 시대를 해석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는 책이다. 미국사를 모르면 트럼프 현상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저자는 트럼프가 ‘이단아’인 것은 분명하지만 미국 역사의 맥락과 배치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먼저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 이전에도 미국은 여러 차례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호무역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대부분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했다. 1828년에 시작된 고관세 정책은 미국 북부 지역의 제조업 성장에 이바지했다. 하지만 농업 중심의 남부지역은 원자잿값 상승과 곡물 수출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크게 반발했다. 북부와 남부의 이해관계 충돌은 1861년 남북 전쟁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미국 제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외 철강 섬유 등에 높은 관세를 부과한 1890년 ‘매킨리 관세법’은 중산층과 노동자 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키우며 내수 시장 위축을 불러와 1893년 대공황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평균 관세율을 60%까지 끌어 올렸던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은 미국의 경제 위기뿐만 아니라 유럽 경제에도 심각한 불황을 몰고 와 독일의 나치가 세력을 확장하는 토양이 됐다.미국은 이민자의 나라로 알려졌지만, 사실 이민자를 배척하는 정책은 뿌리가 깊다. 1840년대 아일랜드 대기근 이후 아일랜드 이민자가 대거 미국으로 몰리자 반이민주의 정당인 ‘미국당’이 등장해 앵글로색슨 중심의 인종 차별주의를 공공연히 내걸기도 했다. 1882년에는 중국인 노동자의 입국을 금지했던 ‘중국인 배척법’이 제정되기도 했다. 미국 외교 정책의 출발은 고립주의였다. 유럽의 전쟁이나 내정에 직접 관여하지 않고 미국의 이익과 안전을 우선시하는 것이 외교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냉전 이후 콜백서비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