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해운과 선박 인수 협상 결렬...매각 작업 일단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2회본문
쿠팡퀵플렉스
SK해운과 선박 인수 협상 결렬...매각 작업 일단 멈춤전재수 해수부 장관 “억지 매각은 기업가치 훼손” 언급정부, 공공 지분 유지한 채 부산 이전·기능 강화 검토HMM의 컨테이너선박 ⓒHMM[데일리안 = 백서원 기자] 국내 최대 해운사 HMM의 민영화 작업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SK해운과 추진하던 일부 선박 인수 협상이 최종 결렬되며 매각 동력도 급격히 약화됐다. 정부는 당분간 매각을 보류하고 공공성을 유지한 채 정책 대안을 검토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최근 HMM의 SK해운 선박 인수 협상이 무산된 데 이어 정부 역시 ‘억지 매각은 없다’면서 민영화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다.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5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2023년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매각을 추진할 당시보다 상황이 어려워졌다”면서 “지불 능력을 갖춘 인수 기업이 나타나기 쉽지 않고, HMM 덩치도 더 커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억지로 매각하려고 하면 오히려 기업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며 “지금은 민간에 맡기는 것이 반드시 효율적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HMM의 주요 주주는 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로, 양 기관을 합친 정부 지분은 70%를 웃돈다. 공기업 성격이 강한 만큼 정부는 그간 산업은행을 통해 지분 매각을 추진해 왔다.그러나 민영화 작업이 멈춰선 상태에서 최근 SK해운과의 거래도 끝내 무산됐다. HMM은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SK해운이 보유한 선박 37척과 관련 사업부 인수를 타진했지만 가격과 조건에서 이견이 컸다. 협상이 장기화되는 사이 HMM 대표이사 교체와 정권 교체 후 장관 인선, 본사 부산 이전 논란 등 경영 불확실성도 겹치며 인수전은 결국 성사되지 못했다.이에 정부는 당장의 매각보다는 중장기 경쟁력 확보와 시장 안정을 병행하는 기조다. 전 장관은 장관 후보자 시절부터 “매각이 유일한 해법은 아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정부가 HMM 지분을 계속 보유하는 방안도 언급했다. 그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처럼 공공성과 수익성을 조화시키는 방식의 운영 가능성도 거론한 바 있다.민영화를 급히 밀어붙이기보다 정부 주도로 전략적 운용에 나서는 ‘플랜B’가 현실화하는 흐름이다.이 같은 방향은 HMM 본사의 부산 이전 추진과도 맞물린다. 해수부는 HMM뿐 아니라 여러 해운사의 본사 이전을 장려하고 있다. 전 장관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인센티브를 동원하면 항만 인프라가 갖춰진 부산으로 이전할 유인이 될 SK해운과 선박 인수 협상 결렬...매각 작업 일단 멈춤전재수 해수부 장관 “억지 매각은 기업가치 훼손” 언급정부, 공공 지분 유지한 채 부산 이전·기능 강화 검토HMM의 컨테이너선박 ⓒHMM[데일리안 = 백서원 기자] 국내 최대 해운사 HMM의 민영화 작업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SK해운과 추진하던 일부 선박 인수 협상이 최종 결렬되며 매각 동력도 급격히 약화됐다. 정부는 당분간 매각을 보류하고 공공성을 유지한 채 정책 대안을 검토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최근 HMM의 SK해운 선박 인수 협상이 무산된 데 이어 정부 역시 ‘억지 매각은 없다’면서 민영화를 서두르지 않겠다고 밝혔다.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5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2023년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매각을 추진할 당시보다 상황이 어려워졌다”면서 “지불 능력을 갖춘 인수 기업이 나타나기 쉽지 않고, HMM 덩치도 더 커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억지로 매각하려고 하면 오히려 기업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며 “지금은 민간에 맡기는 것이 반드시 효율적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HMM의 주요 주주는 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로, 양 기관을 합친 정부 지분은 70%를 웃돈다. 공기업 성격이 강한 만큼 정부는 그간 산업은행을 통해 지분 매각을 추진해 왔다.그러나 민영화 작업이 멈춰선 상태에서 최근 SK해운과의 거래도 끝내 무산됐다. HMM은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SK해운이 보유한 선박 37척과 관련 사업부 인수를 타진했지만 가격과 조건에서 이견이 컸다. 협상이 장기화되는 사이 HMM 대표이사 교체와 정권 교체 후 장관 인선, 본사 부산 이전 논란 등 경영 불확실성도 겹치며 인수전은 결국 성사되지 못했다.이에 정부는 당장의 매각보다는 중장기 경쟁력 확보와 시장 안정을 병행하는 기조다. 전 장관은 장관 후보자 시절부터 “매각이 유일한 해법은 아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정부가 HMM 지분을 계속 보유하는 방안도 언급했다. 그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처럼 공공성과 수익성을 조화시키는 방식의 운영 가능성도 거론한 바 있다.민영화를 급히 밀어붙이기보다 정부 주도로 전략적 운용에 나서는 ‘플랜B
쿠팡퀵플렉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