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도감, 삽살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HELLO 댓글 0건 조회 1회본문
1.
삽살개(Sapsali)
삽살개는 우리나라의 토종 개 입니다.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혈통을 지키고 있습니다. 삽살개의 뜻은 귀신을 쫓는다는 뜻으로 순수한 우리나라 단어 입니다. '삽'은 (없앤다 또는 쫓는다)라는 뜻이며, '살'은 (귀신, 액운)라는 뜻 입니다. 신라시대에는 귀족사회에서 길러졌으나, 신라가 망하면서 서민적인 개가 되었으며, 오랜 시간동안 우리 민족과 더불어 슬픔과 즐거움을 함께 해온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우리나라 4대 토종견인 하나인
삽살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삽살개의 특징 및 성격
삽살개는 겨주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하고 온화하며 애교가 많습니다. 한번 의리를 지키면 주인을 잊지 않는 버릇이 있고, 참을성이 많고 똑똑한 품종 중 하나입니다. 또한, 음식에 대한 욕심도 없는 편이며 크게 짖지도 않습니다. 피부병, 호흡기 질환, 추위에도 강한 편 입니다. 삽살개는 눈치가 빠른 개 품종으로 스트레스에 강하고 여유로워서 사람의 감정을 살피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사회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족이 아닌 사람에게는 적대적일 수 있고, 식욕부진으로 인하여 먹이 훈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개나 동물과 섞이면 잘 놀지 못해 무심코 다른 개들과 합세할 경우 다툼을 벌일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해야 합니다. 다만 제대로 길들이지 않는다면 여느 개나 그렇듯 이 개도 맹견이 될 수 있습니다. 혼자 키우거나, 어린 시절부터 키워온
경산강아지분양개들과 함께 키우는 것이 안전할 것입니다.
흰색 적갈색, 검은색, 청회색으로 다양한 색의 삽살개가 존재합니다. 바둑 무늬의 긴 털을 가지고 있으며, 얼굴의 거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요크셔테테리어, 시츄와 비슷한 얼굴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간 크기의 개 이며, 긴 털과 전신을 덮고 있는 늘어진 귀 때문에 귀엽고 좋은 인상을 줍니다. 털의 길이에 따라 장모종과 단모종으로 나뉘는데 긴 머리카락이 얼굴을
덮고 있어 뒤로 누운 눈과 귀를 구별하기 어렵고, 코가 눈에 뜁니다. 긴 털은 갈기를 가진 수컷 사자를 닮았기 때문에 사자의 개라고도 불렸습니다. 속털은 짧고 부드러우며 두껍고 길고 두꺼운 겉털을 가지고 있으며, 생머리에 반곱슬한 곱슬곱슬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단모종은 시원한 이목구비와 풍부한 꼬리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돗개나 풍산개 등에 비해 귀가 순해 보이지만 털을 잘라내면 주둥이가 의외로 길고
경산강아지분양상당히 날카롭습니다.
수컷은 55~63cm, 암컷은 52~60cm, 수컷은 22~30kg, 암컷은 20~28kg으로 암컷보다 큽니다. 등은 곧고 가슴은 키에 비례하는 균형 잡힌 체형으로 발달되어 있습니다. 허리는 일반적으로 들쭉날쭉하고 다리는 곧습니다. 특히 뒷다리는 근육이 발달하여, 산악 달리기에 적합합니다. 꼬리는 척추를 따라 쭉 뻗어 있습니다.
3. 관리방법
삽살개는 주인이 털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생김새가 극명하게 달라집니다. 부지런히 목욕을 시키고, 양치질을 하는 등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관리가 부족한 경우 양의 탈을 쓴 개가 됩니다. 털이 이물질과 뭉쳐 단단해지면 빗은 커녕 가위로도 잘리지 않습니다. 모발 관리에 자신이 없다면 미용실을 찾아가 삭발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가의 털은 눈을 아프게 하고 개는 예민해지므로 잘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삽살개는 특히 인내심이 강하며 좀처럼 자신의 어려움이나 고통을 표현하지 않고 극복하려고 노력합니다. 따라서 주인은 개의 신체 상태를
경산강아지분양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개를 대할 때보다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관찰해야 합니다.
유행 따라 아무것도 모르고 분양받았다가 버려지는 개들이 많아지는 것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반려견을 분양받기 전에 데리고 오려는 반려견의 특징과 장점, 단점 등을 파악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단지 어렸을 때의 모습이 이뻐서 데려왔다가, 성장하면서 달라지는 성격이나 털 빠짐으로 인하여 파양 또는 재입양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유기견들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