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소설가 되는 법] 등단, 투고 등 소설가 되는 방법 총정리 - 정지우 문화평론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Laura 댓글 0건 조회 44회

본문

메모란 소설가되는법 생각과 정보를 간단히 적어 두는 것이다. p.50​안녕하세요~ 아직도 기록 유목민인 폴링업입니다. ​단순하게 '메모'만을 생각했을 때는 급하게 적을 경우 이용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메모는 순간의 기억을 기록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 찰나를 기억하고 싶어 메모를 정말 잘 하고 싶은데요.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처음 메모와 관련된 책을 읽은 것은 5년 전에 읽었던 ;입니다. 메모를 하면서 독서하는 법이 있다고? 하는 의문을 품고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며 다양하게 독서하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갔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제목에서 오는 끌림으로 구입하게 된 책 『미묘한 메모의 묘미』를 읽었습니다. 단순하게 메모가 궁금해 읽었지만 책을 읽으며 소설가되는법 소설가의 기록이 궁금해졌습니다. 많은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 아닐까 합니다. ​​​책에는 정말 간단하게 소개된 김중혁 작가입니다. 소설가, 메모 전문가, 종이에 낙서하기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가를 붙여 자신을 소개하고 있었는데요. 김중혁 작가는 2000년 뒤늦게 등단을 했지만 다양한 곳에서 수상을 한 소설가입니다. ​관심사가 많아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동진 평론가와 함께 팟캐스트 ;의 진행자로도 활동했습니다. 거기에 더해 웹툰 작가로도 활동을 하는 팔방미인이라고 합니다. 영화 평론과 관련해서도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했었고 참여 중입니다. ​시작은 언제나 메모였다.​​​책을 읽으며 가장 크게 놀란 것은 '이 작가는 평범한 사람이 아니구나'였습니다. 책을 펴냄에 있어서도 소설가되는법 남들과는 다르게, 독특한 자기만의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요.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좀 더 재미있고 다이내믹한 책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어 내용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성에서도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유유 출판사의 책은 오히려 가장 기본이 되는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그런 저의 기준을 벗어난 디자인의 책이었습니다. 그것은 메모와도 연관돼 보였습니다.​총 5장으로 작가는 자신의 메모에 대해 설명합니다. ​1부에서는 다양한 메모의 방식을 소개하고,2부에서는 그동안 사용해 온 여러 애플리케이션과 도구에 대해 썼습니다.3부에서는 추천하고 싶은 10가지 메모법을 소개합니다.4부에서는 사적인 메모 역사에 대해서,5부에서는 메모에 대한 긴 생각들을 모았습니다. (작가의 소설가되는법 들어가는 말 중에서)​​저자는 디지털 메모도 이용하고 있지만 아날로그로 종이에 낙서하며 아이들이 자라는 것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요. 그 부분에서는 정말 깊이 공감합니다.​p.41디지털 교과서로 수업 방식을 모두 바꾸자는 의견도 있던데, 그렇게 되면 아이들이 종이와 가까워질 기회를 놓치게 될지도 모른다. 종이는 자유로운 상상을 가능하는 도구다. …(중략)… 종이에 메모하는 게 중요한 이유는 상하좌우가 없기 때문이다. 논리에 맞추어 글을 쓸 필요도 없고, 서론-본론-결론의 순서가 아니어도 괜찮다. ​종이는 우주와 같다p.42​​종이에 메모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지만 시대에 맞게 디지털로 메모할 수 있는 다양한 앱들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말 많은 앱들을 사용했다고 하는데요. 그중에서 몇 소설가되는법 가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말 좋은 앱들이지만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작가가 추천한 것 중에서 데이 원(day one)이 제일 심플하고 직관적으로 보여 지우지 않고 사용 중입니다. 복잡하지 않고 순간의 키워드나 짧은 문장들을 그때그때 기록할 수 있고 볼 수 있습니다. ​p.72메모는 먼 훗날 내가 나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단서가 되리라 생각한다. 미래의 나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기록은 무엇일까? 2025년의 내가 어떻게 살았는지, 무슨 생각을 했는지 알려 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나는 내밀한 감정의 섬세한 기록보다 이런 식의 일상 나열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디지털과 소설가되는법 아날로그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에 두 개를 교차해 가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다양한 곳에 기록을 하고 남기는 것이 더 중요할 듯합니다. 저도 북토크나 글쓰기 수업을 갈 때 작은 수첩을 챙겨가 디지털로는 적을 수 없는 것들을 빠르게 적거나 기록을 합니다. 종이에 적는 것은 그 나름대로의 묘미가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작은 수첩의 핵심 기능은 휴대성이다. p.79​종이에 기록하는 방법 중 가장 관심이 갔던 것은 카드에 메모하기였습니다. 소설책을 읽을 때 A4용지를 접어 등장인물의 특징들을 적어가며 읽기도 하는데요. 이 방법보다는 작가가 소개하는 카드를 이용해 모아 놓는 방법도 도전해 보고 싶어졌습니다. ​카드 소설가되는법 이용법은 많은 사람들이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그것을 이용해 소설을 쓴다는 이야기가 특히 흥미로웠습니다. 저자가 직접 사용해 본 것들을 설명하기에 이해하기가 쉽고 도전해 보고 싶어집니다. ​​​p.183한 편의 글을 써내려면 온갖 재료들이 뒤섞여야 한다. 1년 전에 보았던 텔레비전 프로그램, 5년 전에 후배가 내게 한 말, 어제 만난 사람의 옷 스타일, 그저께 영화에서 본 대사가 뒤섞여서 오늘의 글이 탄생한다. 모든 글은 삶의 메모로부터 출발하고, 메모에는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게 따로 없다. ​작가의 마지막 문장이 크게 와닿습니다.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게 따로 없는 것이 메모입니다. 짧은 단어나 문장을 기록하는 소설가되는법 순간에는 그것이 정말 중요하기에 적는 것이 아닐까요? 시간이 지난 후에 희석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그것을 다시 중요하게 만들어가는 것은 '나'겠습니다. ​다양한 책을 읽으며 어느 순간 '작가들은 어떻게 이렇게 세심한 일상들을 글로 적을까'가 궁금했습니다. 최근 소설가의 북토크를 다니면서 독자들이 공통적으로 궁금해하는 것 중의 하나도 어떻게 글을 쓰는 것이었습니다. 그 궁금증을 어느 정도는 『미묘한 메모의 묘미』를 통해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기록할 것인지 고민이라면 이 책을 추천합니다. 다양한 방법들을 보며 자신에게 맞는 미묘한 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2025년 8월 № 322미묘한 메모의 묘미김중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