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산림청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본문
한국 산림청
한국 산림청 지원 커피 혼농임업 사업지 현장의 농장 주인과 협력파트너들 (코체리<에티오피아>=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에티오피아 남부 오로미아주 코체리 지구에서 한국 산림청이 후원한 커피혼농임업 사업 관계자들과 농장 부부(왼쪽에서 5번째 남녀) 등이 신품종 커피 묘목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sungjin@yna.co.kr 2025.6.21 (아와사<에티오피아>=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한국의 도움으로 커피도 재배하고 나무도 키우면서 크게 다투던 두 부족 공동체가 화합의 계기를 이뤘습니다."기자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인천국제공항에서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까지 13시간 비행 끝에 도착한 뒤 다시 국내선 항공을 이용해 수도 남쪽으로 한 시간쯤 비행 거리에 있는 아와사 지역을 방문했다.이튿날 오전 일찍 이곳 숙소에서 다시 차로 3시간쯤 들어간 곳에 위치한 코체리 지구(서던 에티오피아 지역 소재)의 커피혼농임업(agroforestry) 사업지 두 곳(빌로야, 바야)을 한국 언론으로서는 처음으로 직접 찾았다.한국 산림청이 재정적으로 후원한 이 혼농임업 사업지 방문에는 현지 사업 집행 파트너였던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관계자 2명이 동행했다.이곳은 원래 게데오 부족 커뮤니티와 오로모 구지 부족 커뮤니티가 토지와 물 등 희소 자원을 두고 다투던 곳이었다.당초 따로 경계를 이루며 살던 민족 커뮤니티가 급격한 인구 증가로 서로 영역을 침탈하기 시작했다.급기야 2018년 수천 명씩 떼를 지어 상대방 전통적 경계 안으로 들어가 살면서 심각한 갈등이 야기됐고 이 과정에서 80만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게데오족은 오로모족을 쫓아내고 반대로 오로모족은 게데오족을 쫓아내는 식으로 이 과정에서 폭력사태로 사망자도 대거 나왔다.이들은 과거부터 같은 언어를 쓰고 시장을 중심으로 물물을 교환하며 서로 통혼하면서 지내던 민족이었으나 경제적 이권으로 인한 생존 문제가 걸리자 반목했다.그러나 2022년부터 산림청의 '사람과 평화를 위한 숲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커피 혼농임업이 도입되면서 평화의 전기가 마련됐다. 산림청 후 지난 2023년 미호천 제방 유실로 침수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를 방문했던 이재명 대통령(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환경부가 기후 위기 대응과 도시침수 예방, 기존 사업의 적기 준공을 위해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총 2437억 원의 시설투자를 확대하고 5473억 원은 감액했다.환경부는 19일 국무회의를 거쳐 2025년도 제2회 새 정부 추경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은 하수처리장과 폐기물처리시설, 국가하천 정비, 수문조사시설 개선 등 9개 사업을 중심으로 증액이 이뤄졌으며, 반면 무공해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 등은 사업 집행 여건을 고려해 감액 편성됐다.가장 많은 예산이 추가된 분야는 하수처리장, 하수관로, 폐수처리시설, 공업용수도 등 물 관련 사회기반시설로, 총 954억 원이 반영됐다. 이 가운데 하수처리장 설치에 575억 6000만 원, 하수관로 정비에 70억 원, 공공폐수처리시설에 57억 8000만 원, 공업용수도 안정화에 71억 원이 포함됐다. 수문조사시설 개선에도 150억 원이 편성돼 수위관측소 50곳이 신설될 예정이다.이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홍수예보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공업용수도 사업은 국가산업단지 2개소에 노후관을 개량해 안정적 용수공급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공공폐수처리시설 사업은 폐수처리 용량 확보가 시급한 산업단지 2개소를 대상으로 지원이 확대된다.이외에도 비점오염 저감 사업 180억 1000만 원, 국립공원·지질공원 조성 304억 4000만 원, 국가하천 정비 418억 원 등이 포함돼 홍수 예방, 생태계 기반 조성, 기후 위기 적응을 위한 기반 정비가 이뤄질 계획이다.반면 무공해차 보급 사업은 4672억 5000만 원,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은 630억 원이 각각 감액됐다. 전기차 '캐즘'(Chasm, 수요 정체·후퇴)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이밖에 스마트하수도 관리체계 구축 100억 원,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업 70억 원 등 일부 계속사업도 집행 가능성을 반영해 조정됐다.이번 추경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을 기반으로 편성됐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기후 위기 대응은 국민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며, 국가 차원의 통합적
한국 산림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