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밸코리아
 
 
카다로그
 

이상근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본문

이상근 이상근 콴텍 대표가 19일 서울 여의도 콴텍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서울경제] “퇴직연금 시장은 이제 ‘성과 중심’ 시대로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투자자의 생애 주기와 성향을 반영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설계할 수 있는 로보어드바이저(RA)는 퇴직연금의 본질적 가치를 실현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입니다.”이상근 콴텍 대표는 19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그간 은행 중심으로 운영되던 퇴직연금은 실질적인 수익률 개선 노력이 부족했다”면서 “퇴직연금이 장기 자산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원금 보존형보다 더 적극적이고 개인화된 운용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올해로 설립 9년 차를 맞은 콴텍은 기존의 RA 개념에서 한 단계 진화해 인공지능(AI) 기반 웰스매니지먼트(WM·자산관리 전반) 영역까지 아우르는 ‘AI 어드바이저’ 기업을 지향한다. 이달에는 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과 NH투자증권 등 국내 주요 금융기관 6곳과 RA 개인형퇴직연금(IRP) 일임 서비스를 출시한다. AI를 통해 가입자의 생애 주기와 투자 성향에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운용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 대표는 “모두가 똑같은 포트폴리오를 쓰던 시대는 끝났다”며 “투자자마다 위험 수용도, 생애 주기, 자산 수준이 모두 다른 만큼 콴텍은 이를 AI 기술로 정교하게 반영하고 리밸런싱까지 자동화한다”고 설명했다. 이상근 콴텍 대표가 19일 서울 여의도 콴텍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콴텍의 기술력은 이미 금융 당국이 운영하는 공식 테스트에서 입증됐다. 콴텍은 금융위원회가 주관하는 코스콤 RA 테스트베드에서 연 환산 수익률 1위와 6개월·3개월 기준 운용 수익률 1위 등을 기록하며 성능과 신뢰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상용화가 가능한 알고리즘(103개)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이기도 하다. 이 대표는 “시장에 진입하는 게 목적이던 기존 RA와 달리 콴텍은 성과로 차별화하겠다는 철학이 있다”며 “기존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기금형 퇴직연금’이 도입되면 RA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 대표는 “그동안 은행들은 예금 상품만으로 고객 올해 1분기 공실률 41.6%를 기록한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의 모습.2025.6.19/뉴스1 ⓒ News1 이정환 기자 (서울=뉴스1) 이정환 기자 = "가로수길 트렌드가 한물간 뒤에도 임대료는 계속 올랐고, 결국 지금의 공실 사태로 이어졌죠. 대부분의 건물주들은 여전히 예전 임대료를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강해요."(서울 강남구 신사동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한때 서울 강남의 대표 '핫플레이스'로 주목받았던 가로수길 상가가 심각한 공실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가 둘 중 하나가 공실'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공실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임대료 경직성이다. 상가 건물주들은 매맷값 하락을 걱정해 임대료를 좀처럼 내리지 않고, 임차인은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탈출하는 악순환이 반복된 결과다.지난 19일 찾은 가로수길 곳곳에는 임대·통임대·특급임대 등 상가 임차인을 찾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이따금 차량이 지나가긴 했으나 인적이 드물어 적막감이 돌았다. 특히 신사역 대로변에서 멀어질수록 공실은 눈에 띄게 높았다.이 지역에 출근하는 직장인 이현 씨(23)는 "요즘은 애플스토어 아니면 특별한 볼거리도 없는데, 올 때마다 너무 휑해 걸어 다니기 망설여질 정도"라며 "점심에 식당 가려고 잠깐 가로지르는 길"이라고 말했다.실제 가로수길의 상가 공실률은 1년새 증가했다. 부동산 컨설팅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로수길 상권 공실률은 41.6%로, 전년 동기 대비 0.4%포인트(p) 상승했다.공실 문제의 핵심 원인으로는 과도한 임대료가 꼽힌다. 신사동 B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33㎡ 기준 임대료가 200만~300만 원에서 1000만 원 이상으로 오르고, 보증금까지 1억~2억 원씩 붙으니 상인들 부담이 컸다"며 "3~4년 전까지는 가끔 상가 입점 문의가 있었지만 지금은 전혀 없다"고 귀띔했다.가로수길의 경우 2010년대부터 전국적으로 유명해지면서 상가 임대료가 급등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익성이 악화한 러쉬·자라·타미힐피거 등 유명 브랜드들이 빠져나가며 침체기가 본격화됐다는 분석이다. 19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의 빈 상가에 임대 문구가 붙어 있다. 2025.6.19/뉴스1 ⓒ News1 이정환 기자 그러나 다수의 건물주들이 여전히 임대료 인하에 소극 이상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