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선 목사와 아내 김정자 사모가 29일 인터뷰를 하면서 다정하게 어깨를 기대고 앉아 환하게 웃고 있다. 인천 부평의 한 아파트 상가 5층.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자 건물 한쪽에서 뜨거운 찬양 소리가 터져 나왔다. 29일 30여명의 시각장애인들이 모여 예배를 드리는 행복한교회(고성선 목사)의 풍경이다. 세상의 눈으로 보면 초라할 수 있는 작은 임대 공간이지만, 이곳은 세상의 편견과 차가운 시선을 피할 수 있는 안식처가 되고 있었다.이날 예배에서는 뇌성마비 장애가 있는 송명희 시인의 시 ‘나’에 곡을 붙인 노래가 울려 퍼졌다. “나 남에게 있는 건강 있지 않으나, 나 남이 모르는 것 깨달았네. 나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았고, 나 남이 듣지 못하는 음성 들었네…” 성도들은 저마다의 삶으로 가사를 고백하듯 읊조렸다. 찬양을 인도하는 고성선(61) 목사는 자신의 가슴을 치며 박자를 맞췄다. 발달장애를 가진 한 청년은 피아노 반주를 해내고 화음을 넣으면서 찬양 예배를 섬겼다. 29일 행복한 교회 예배 중 피아노 반주를 맡은 청년 성도가 건반 앞에 앉아 연주에 집중하고 있다. 이날 고 목사는 설교에서 ‘하나님의 공평하심’이라는 주제를 꺼냈다. 그는 포도원에 일찍 온 일꾼과 늦게 온 일꾼이 동일한 품삯을 받은 성경 속 비유를 들며, 세상의 기준과 하나님의 기준은 다르다고 말했다.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성도들이 느낄 수 있는 ‘왜 나에게만’이라는 원망 섞인 질문에 대한 그의 대답이기도 했다. 그는 “구원의 선물과 우리를 향한 부르심은 모두에게 동일하고 공평하다”고 말했다. “장애가 행복”이라는 고백...그 뒤엔 아직 차가운 현실 고 목사는 이날 예배 후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자신의 장애가 오히려 ‘행복’이라고 말했다. 고 목사는 “만약 눈이 보였다면 지금처럼 하나님을 의지하며 살지 못했을 것이다. 장애를 가졌기에 더 간절히 기도하고 찬양하며 하나님을 만날 수 있었다. 아내를 만났고, 쓰임 받는 도구가 되었기에 행복하다”고 했다. 29일이스라엘·미국과의 무력 충돌을 휴전을 통해 마무리 지은 이란이 내부 단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충돌 과정에서 미국 등을 통해 정권교체 가능성 등이 제기되자 아야톨라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이끄는 기존 체제를 공고히 다지기 위해 빠르게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이날 테헤란에서 최근 이스라엘 공습에 숨진 희생자들의 장례식을 국장으로 거행했다. 지난 13일 이후 이어진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사망한 군사지휘자 30여명과 핵과학자 11명을 포함한 60여 명의 장례식이 치러졌다. 호세인 살라미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 모하마드 바게리 이란군 참모총장 등 희생된 군 지휘관과 핵 과학자들의 관은 테헤란 혁명 광장에서 열린 장례식 이후 트럭에 실려 아자디 광장으로 이동했다. 조문객 수천 명이 운구 행렬을 뒤따르며 “미국에 죽음을”, “이스라엘에 죽음을” 등 호전적 구호를 외쳤다. “미·이스라엘에 죽음을”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숨진 군 지휘관, 핵 과학자 등을 추모하는 28일(현지시간) 이란 수도 테헤란의 장례식에 아야톨라 하메네이 최고지도자의 얼굴을 그린 그림을 든 시민 등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 테헤란=로이터연합뉴스 지난 24일 이스라엘과 휴전 이후 처음으로 거행된 이날 공개장례식에는 마수드 페제시키안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고위 관료들도 참석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휴전 나흘 만에 발 빠르게 대규모 공개 장례식을 국장으로 치르며 내부 결속을 도모한 것이다. 이란 정부는 무력 충돌에 적극적으로 동조하지 않은 인물과 세력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에도 나섰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휴전 이후 이란 정부가 표적 단속과 처형, 간첩 몰이 등을 이어가고 있다고 27일 보도했다. 당국은 테헤란 전역에 검문소를 세우고 이스라엘을 도운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추적하기 시작했으며, 야당 인사나 반체제 인사 등에 대한 표적 단속을 벌이고 있다. 심지어 주민들에게 이웃이 간첩인지 아닌지 감시하라는 지시도 내리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이란 경찰과 정보당국이 체포한 시민이 수백명에 달하는 가운데 휴전 이후 간첩 혐의 등으로 처형된 사례도 6명에 이른다.모사드 등 이스라엘 정보당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