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덴마크 국방부
출처=덴마크 국방부 [서울경제] 덴마크에서는 7월부터 여성도 징병 대상에 포함한다.30일(현지시간) 덴마크 의회에 따르면 지난 6월 초 여성도 징병 대상으로 하는 법안이 통과돼 7월부터 발효된다. 현재까지는 18세 이상 남성만 징집해 왔고 군 입대를 자원하는 여성에 한해 군 복무가 가능했다.7월 1일부터는 남녀 모두 징병 대상에 포함된다. 복무 기간도 기존 4개월에서 11개월로 늘어난다.이 같은 조치는 러시아의 침략 위험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들의 군사 투자 증가를 배경으로 한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덴마크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으로 여겨졌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은 덴마크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따라서 덴마크는 2024년 주요 방위협정의 일환으로 2027년 징병에서 성평등 개혁을 이룰 계획이었다가 올여름으로 앞당겨 추진했다.덴마크는 지난 2월 70억 달러(약 9조 4700억 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 군 강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올해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3% 이상으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다만 남녀 모두 징병 대상이 된다고 해서 전부 군에 입대하는 것은 아니다. 자원 입대자들이 많다 보니 모든 징병 대상자들은 추첨을 통해 징병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참고로 지난해 자원입대한 여성은 덴마크 전체 병력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징집되면 5개월 간 기초군사훈련을 받은 뒤 나머지 6개월은 군 복무를 하며 추가 훈련을 받게 된다.인구 600만 명의 덴마크의 병력 수는 약 9000명이다. 징병 대상 확대로 지난해 4700명이던 연간 징집병은 오는 2033년 6500명 수준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덴마크는 이로써 노르웨이, 스웨덴에 이어 유럽에서 세 번째로 여성 징병제를 도입하는 국가가 된다. 앞서 스웨덴은 2017년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징병제를 도입했으며, 노르웨이는 2013년 남녀 모두에게 징병제를 적용하는 자체법을 도입했었다. 강신우 기자 seen@sedaily.com CJ ENM이 인공지능(AI)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 '캣 비기'의 한 장면. CJ ENM 제공 문화콘텐츠 제작 기업인 CJ ENM이 제작 과정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는 실험에 한창이다. 7월 중 거의 모든 부분을 AI로 제작한 쇼트폼(짧은 영상) 애니메이션을 공개하고 이후 드라마나 영화 제작에도 AI를 활용해 'AI 콘텐츠 선도 기업'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CJ ENM은 3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열린 '컬처 토크' 행사를 통해 콘텐츠 산업에 특화한 AI 역량을 확보하고 새로운 원천 지식재산(IP) 확보에 나서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기획부터 제작, 유통에 이르기까지 AI를 활용해 비용을 줄이고 효율성을 끌어올릴 뿐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때도 AI를 적극 쓰겠다는 설명이다. CJ ENM은 이날 기획에 활용할 'AI 스크립트'와 영상 제작에 쓰이는 '시네마틱 AI'를 선보였다. ①AI 스크립트는 소비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IP를 개발하고 적합한 장르와 매체를 제안해 주는 '콘텐츠 기획 AI 비서'다. ②시네마틱 AI는 공개 모델과 CJ ENM 자체 모델을 두루 활용해 만든 영상 제작 AI다. 기존에 영상 제작 AI의 약점이었던 '연결성 있는 스토리텔링의 부재'를 어느 정도 해결했다는 게 CJ ENM 측 설명이다.갈 길 먼 '영상 AI'... "한계 있지만 결국 콘텐츠 제작에 도움 될 것" 백현정 CJ ENM AI사업추진팀장이 3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센터에서 CJ ENM의 새 AI 콘텐츠를 소개하고 있다. CJ ENM 제공 실제 AI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캣 비기'도 이날 첫선을 보였다. 고양이와 병아리가 주인공인 대사 없는 쇼트폼 3차원(3D) 애니메이션으로 회당 3, 4분 분량 50회로 제작돼 7월 중 공개된다. 6인의 AI 전문 인력이 5개월 작업 끝에 이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CJ ENM 측은 "일반적으로 5분 분량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데 3, 4개월 걸
출처=덴마크 국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