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카, 페루 쿠스코서
코이카, 페루 쿠스코서 자원순환경제 구축 추진 코이카는 페루 쿠스코주 주청사에서 지난 11일 '자원순환경제 구축 사업' 착수식을 열었다. [코이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쿠스코<페루>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남미 잉카문명의 대표적 유적지인 마추픽추가 자리한 페루의 쿠스코주의 지속가능한 관광과 발전을 돕는 데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이 발 벗고 나섰다.쿠스코주는 매년 300만명 이상의 관광객과 50만명이 넘는 지역민의 지속적인 증가세로 인한 쓰레기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왔다.하루 450톤 이상의 폐기물이 하키라 매립장으로 유입되고 있는데 포화상태에 이르러 추가 매립지를 확보했지만 이 증가세를 고려할 때 금세 차버릴 상황이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코이카는 2022년부터 폐기물 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자원순환 선진화 사업으로 2050년까지 '제로 웨이스트'(재활용과 재사용 권장을 통해 폐기물 소각 및 매립을 지양하는 자원 보호 원칙)를 실현하는 데 집중해왔다. 사업 시작 전 쿠스코주는 폐기물 관리 역량 미비와 인식 및 인프라 부족으로 비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이 10%에 불과했다. 코이카는 유네스코와 함께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퇴비화 시범 시설 구축, 음식물 쓰레기 약 80% 재활용, 환경 교육관 설립, 인식 개선 활동을 통한 분리배출을 독려해왔다.또, 폐기물 통합관리 공무원 초청 연수와 지역민 및 관광업 종사자 대상 교육 등을 실시했고, 쓰레기 분리배출 시범 사업 등을 통해 사업의 기초를 다졌다. 코스코주 소재 잉카유적 마추픽추 전경 [코이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코이카는 이 사업의 고도화를 위해 지난 11일 쿠스코주 청사에서 '쿠스코주 자원순환경제 구축사업·아이유 베르데' 착수식을 열었다. 월드비전과 함께하는 이 사업은 2032년까지 2천만 달러를 들여 비유기성 폐기물 관리 강화 사업에 나선다. '아이유 베르데'라는 사업명은 공동체 정신을 가리키는 원주민 전통 언어로 사람과 환경, 전통과 혁신 간의 조화를 통해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자는 비전을 담고 있다.구체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폐기물 매립량 저감,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이전을 통한 지역 자원순환경제 기반 강화, 지방정부의 폐기물 관리 역량 제고 및 지역사회 이해 관계자의 자원순【 앵커멘트 】청양 부여 지천댐 건설을 놓고 지역 주민들의 찬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신임 환경부 장관이 댐 건설 '재검토'를 시사했습니다.그동안 댐 건설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강행 입장을 고수해 온 충남도와 입장 차가 뚜렷해지면서, 지천댐 건설 논란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간 충돌로커질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김상기 기자입니다.【 기자 】충남도가 지천댐 사업을 더는 미룰 수 없다며 강행 의지를 거듭 확인했습니다.수십 년 반복된 가뭄과 홍수 피해의 유일한 해결책인 만큼, 댐 건설은 꼭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지천댐을 찬성하는 주민들도 목소리를 보탰습니다.청양.부여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추진위는 물 문제 해결을 더는 늦출 수 없다며,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 이성우 / 지천댐 추진위원회위원장- "소수의 외부 환경단체 등의 개입에 흔들리지 말고, 실제 피해를 겪고 있는 지역주민의 뜻을 존중하여 지천댐 흔들림 없이 추진해 주십시요."반면 중앙정부의 기류는 달라졌습니다.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신규 댐 건설의 필요성 등을정밀히 따져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 김성환 환경부장관 / <장관후보자 인사청문회(7.15)>- "꼭 필요한지, 주민 반발은 없는지 등을 정밀히 재검토해서, 꼭 필요한 건 추진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양해를 구해서 중단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환경부 장관으로서 사업중단 가능성을 언급한 건 처음입니다.건설을 반대하는 주민들도 대응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청양군민 6천여 명의 서명을 모아 환경부 등에 전달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 김명숙 / 반대대책위 위원장-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일 때 주민이 반대하고 지역에 이롭지 않으면 계획을 철회하겠다는 말을 믿었고요. 이번에 장관이 청문회 하면서도 면밀히 검토해서 불필요한 건 하지 않겠다고 하셨기 때문에 당연히 백지화될 거라고 믿고 있습니다."지천댐 논란은 단순한 물 공급 해법을 넘어서면서,입장 차이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 스탠딩 : 김상기 / 기자- "충남도는 흔들림없는 사업 강행의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천댐 문제는 이제 행정과 주민, 지방과 중앙정부는 물론 주민들 사이의 갈등으로까지 번질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TJB 김상기입니다."(
코이카, 페루 쿠스코서